18.216.233.58
18.216.233.58
close menu
KCI 등재
이광수 초기 문장의 `미(美)`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Beauty` in Early Sentences of Lee Kwang-Su
이은선 ( Lee Eun-seon )
국제어문 70권 107-129(2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318953

`문학`이 역어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美)` 개념 역시 번역어로서 탄생되었던 배경을 지니고 있다. 이광수의 `미` 개념 역시 기본적으로 서구와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온 개념을 학습, 수용하는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이광수의 `미` 개념이 중요 한 이유는 문학론을 비롯한 초기 문장에서 `미` 개념의 출현 빈도가 상당히 높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정(情)`에 집중되어온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통해 `문학` 개념 과 `정` 개념의 연관 관계는 상당 부분 밝혀졌지만, 정의 작용으로 규정된 `미` 개념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측면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광수의 초기 문장에 나타난 `미(美)`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미` 개념 의 활용 양상을 검토하면서 `좋음`, `정신적 아름다움` 등과 `미`가 맺고 있는 관 계를 밝혔다. 다음으로 「문학의 가치」와 「문학이란 하오」에서 전개되고 있는 `진 -선-미`의 가치 체계가 통용되었던 맥락을 검토했다. `진-선-미`라는 구별과 그 가치 체계를 그대로 학습, 수용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선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미` 개념이 실천적 측면에서 조금 더 구체화된 것은 「동경잡신」에 나타난 `미술 교육`을 통해서였다.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광수의 `미` 개념이 어떤 목표와 지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실천적 방면에서 그 효과를 어떻게 상정하고 있었는가를 밝혔다.

Existing studies of Lee Kwang-Su, `affection`, `emotion`, and `sympath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These studies disclosed diverse ways of utilization of `affection` in relation to literature. However, how the concept `affection` is related with other concept words used by Lee Kwang-Su has been receiving relatively less attention. In this paper, the utilization of the concept `beauty` in early sentences of Lee Kwang-Su was reviewed. The concept `beauty` can be utilized in three ways; `good`, `beauty`, and `aesthetics.` Which ways of utilization the concept `beauty` of Lee Kwang-Su shows was analyzed. Next, Lee Kwang-Su`s `aesthetic cognition` was examined. It can be presumed that the area of `senses` has been erased in the process of educating the liberation of `emotion` and emotion. That is, Lee Kwang-Su seems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senses` in terms of `aesthetics.` He is wary of the risk of `senses.`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physical properties of `senses` become extinct and substituted by `emotions`, which are `responses in mentalized forms.`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nature of the `social context` of `aesthetic things.` Although `aesthetic cognition` begins from the individual level, it has the `sociality` not limited to `individuals.` Since this asp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sthetics`, it cannot be easily regarded to be contradictory.

1. 머리말
2. ‘미(美)’ 개념의 활용 양상
3. 「문학이란 하오」의 ‘미(美)’ 개념
4. 「동경잡신」의 ‘미술 교육’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