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24.232
3.144.124.232
close menu
KCI 등재
권섭의 산수(山水) 유기(遊記)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Sansuyugi of Kwon Seop
홍성욱 ( Hong Seong-uk )
국제어문 36권 75-115(4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82965

소품체의 하나인 산수 유기는 산수 유람의 흥취와 견문을 주로 하는 것이다. 당나라 유종원에 의해 처음 지어진 이 글은 조선 전기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에 의해 ○○록이란 표제 하에 산수 유람의 흥취와 사대부 의식의 고취를 주 내용으로 활발히 지어졌다. 그러나 조선 후기 들어 금강산과 지리산 유람이 활발해지면서 다수의 산수유기가 지어진다. 권섭은 기사환국(己巳換局)을 경험하면서 정치 현실에 대한 환멸을 느껴 출사에 대한 생각을 접고 평생토록 전국의 산수를 두루 유람하면서 보낸다. 그에게 산수는 세상과 분리된 자유공간이며 탐미대상일 뿐 이전의 산수 유람자들이 의식한 것과 같은 사대부 의리를 실현하고 도체(道體)를 발견하는 공간은 아니었다. 그는 정신의 자유와 산수의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가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노구를 이끌고 전국 각지를 유람하였다. 스스로 산수벽이 있다고 할 정도로 탐승(探勝)에 몰두하였으며 이를 다양한 형식의 산수유기로 남겼다. 그가 남긴 산수유기는 조선 전기나 동 시대 문인의 그것과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매우 차별적 양상을 보인다. 평생의 유람 기록을 빠짐없이 남기고자 환갑을 넘은 노년에도 기억을 더듬어 지난날의 유람을 다시 기록하기도 하고, 타인의 유람 기록을 그대로 옮겨 놓기도 하였다. 일반 유기의 형식을 준용하여 일기체로 서술하되 날씨, 이동거리, 그날의 주요 유람지 등만 서술하고 자신의 감상은 거의 배제시키기도 하였고, 자신만의 독창적 체재로 유람 전 과정을 자세히 서술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전범으로 여긴 문장의 문체를 모방하여 서술하기도 하였다. 그의 유람은 어느 시기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평생을 두고 꾸준히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의 산수유기는 유람의 흥취를 서술한 것이 주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유람의 전 과정이 두루 망라되어 있다. 특히 권섭은 유람을 하면서 여정과 그날그날의 일정을 하나도 빠뜨리지 않고 자세히 기록하였다. 또 자신의 유람에 도움을 준 사람들의 구체적 내역을 일일이 적어 놓았다. 그에게 있어 탐승의 욕구는 식욕과 색욕을 억제하는 것보다 더 힘들었다. 까닭에 老年에도 산수 유람을 멈추지 않았고 가족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결행하였던 것이다. 그는 탐승에 몰입하면서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정감을 산수에 투사시킨다. 또 이를 통해 정신적인 자유와 해방을 만끽하고 그것은 그의 정신과 육체를 산수 유람 이전보다 한층 강건하게 만든다. 그것이 그를 평생 동안 산수의 기승(奇勝)을 추구하도록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강고한 산수벽을 지녔으면서도 그는 산수유기에서 산수 유람의 흥취와 견문만 적지 않았다. 산수 유람의 전 과정이 모두 소중하였기에 어디를 어떻게 다녔는지 그리고 누구와 어떻게 어울렸는지는 빠짐없이 적었던 것이다. 이유는 이 모든 것이 산수 유람을 통해 자신의 정신적 자유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Kwon Seop was disillusioned about political reality through experiencing Kisahwanguk(Returning to former political system through Political strife) and he spent his life in going on a trip to see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while giving up the entrance into the governmental office. For him, mountains and rivers are free spaces to be separated from the world. Mountains and rivers were just objects of exploring beauty for him but not spaces to find the morality and righteousness, pursued by people of noble birth. In order to explore the beauty of mountains and rivers, and enjoy the spiritual freedom, he travelled the whole nation at his old age in spite of persuasion of his family. He was absorbed in exploring the beauties of mountains and rivers and eventually left travel sketches called "SANSUYUGI", which are written with various forms. His travel sketches are very discriminative from those of other literary men, living in the same era, in terms of form and matter. In order to leave the record of every excursion, he retraced his memory, re-wrote the past excursion, and transferred others excursion note into his record even though he was over 60 years old. As a type of diary, he described daily weather, movement distance, and major sightseeing places. He excluded his own emotion, and wrote the whole process of excursion in detail with his original structure. He also imitated others` writing styles, which were considered as exemplary models. His excursion was not intensified at a certain age and he continued his excursion for his whole life. In `SANSUYUGI` only enjoyment and fun is not a main part, but the whole process of his journey represents meaning as an integrated one. For him, the desire to explore the beauties of nature was greater than desire for food and sex. He didn`t stop his journey and he turned a deaf ear to his family`s persuasion at his old age. While being absorbed in mountains and rivers, he projected his emotion, buried in his inside, into mountains and rivers. Through it, he enjoyed inner freedom, and made his mind body stronger than the former times of excursion. It seems that he pursued for scenic beauty for his whole life with unyielding spiri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