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4.109
3.21.104.109
close menu
KCI 등재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텍스트 문제
On the Problem of the Texts of Worincheongangjigok
김기종 ( Kim Ki-jong )
국제어문 36권 183-214(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82990

월인천강지곡은 세종 당대에 간행된 단행본과, 월인석보에 수록된 노래 모두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에는 단행본과 월인석보 수록 노래 모두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문학적 연구 중, 몇몇 논의에서는 내용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월인석보 소재 월인천강지곡을 텍스트에서 제외하고 있다. 또한 월인석보의 마지막 권차인 권25가 1998년 학계에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권25의 마지막 노래인 其583에 대한 언급은 기존 연구에서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그러나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도외시할 수 없다. 텍스트의 범위에 따라 월인천강지곡의 성격은 달리 파악될 것이고, 작품의 구조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결사의 확정 문제가 무엇보다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월인천강지곡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텍스트의 범위와 결사의 확정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단행본과 월인석보 수록 노래들의 비교를 통해, 노랫말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두 곡의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경과 내용이 대응되는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비교를 통해서는 곡차의 차이 및 그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그리하여 곡차의 차이는 단행본 중권 또는 하권에 있던 노래가 곡차만 바뀌어 권5나 권6에 옮겨진 결과로 보았다. 또한 월인석보의 변개는 월인천강지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더 나아가 월인천강지곡으로 인해 월인석보의 내용이 새로 첨가된 경우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결사의 문제에 있어서는 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본 뒤, 其583의 내용과 주석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이 노래가 其582와 함께 其3~581의 내용을 마무리하는 월인천강지곡의 결사임을 확정하였다. 끝으로, 결사의 확정에 대한 이러한 논의와, 단행본과 월인석보에 수록된 노래들을 같은 맥락에서 다룰 수 있다는 앞의 논의를 통해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를 확정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문제에 대한 본고의 논의는, 월인천강지곡의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의 의의뿐만 아니라, 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석보상절의 비교 고찰을 통해 연구의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Worincheongangjigok includesboth the monograph published in the days of King Sejong, and the songs included in Worinseokbo. Thus, both the monograph and songs in Worinseokbo are included in the texts of Worincheongangjigok. However, some of the existing literary studies exclude the songs in Worinseokbo from the texts because they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continuance in contents. Furthermore, though the last volume of Worinseokbo, i.e. Vol. 25 was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n 1995, few of the existing studies mention No. 583, the last song of Vol. 25. However, we should not put these problems aside in order to characterize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This is because the range of the texts has influence on the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 and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ast phrase should be resolved in order to discuss its structure. Thus,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ange of the texts and the last phrase as part of discussion for the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First of all, we have found ou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monograph and the songs in Worinseokbo that the two kinds of songs have no big differences in contents but show some differences in words. On the other hand, we can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order of songsand the reasons of them by comparing Seokbosangjeol and Worinseokbo, which correspond to each other in based scripture and contents. Thus, we hav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order of songs are resulted from the movement of songs in thesecond and third volumes of the monograph into Vol. 5 and 6 with the order of songs changed. Furthermore, we have confirmed that the modification of Worinseokbo did not have influence on Woringcheongangjigok, and moreover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ntents of Worinseokbo were newly added due to Worincheongangjigok. As for the problem of the last phrase, after examining the existing works and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glosses of No. 583, we have confirmed that this song is the last phrase of Woringchoengangjigok, which finishes the contents of No. 3-581 with No. 582. Lastly, we have established the texts of Worincheongangjigok based on this conclusion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last phrase, and the previous conclusion that it is possible to dealt with the monograph and the songs in Worinseokbo in the same vei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not only hasthe significance as preliminary work for characterization of Worincheongangjigok`s narrative structure and epic properties, but also is important in that it extends the horizon of research through comparison between Worincheongangjigok, Worinseokbo, and Seokbosangjeo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