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02.187
3.141.202.187
close menu
KCI 등재
문화콘텐츠 교육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박기수 ( Park Ki-soo )
국제어문 37권 281-307(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76021

이 글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콘텐츠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현재 문화콘텐츠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과제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콘텐츠 교육의 문제점은 역사의 일천함으로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체계화되지 못했고, 분야가 광범위하고, 산학연계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는 데 있다. 문화콘텐츠 교육은 산학협력을 중심으로 하는 실무 중심의 글로벌 전문 인력 양성과 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심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연구 인력 양성으로 수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분과학문 단위를 넘어서는 통합적인 교육시스템의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 문화콘텐츠 분야별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모델 개발, 학교별 특성화 목표와 특화된 분야의 설정, 산학협력의 생산적 모델에 대한 실천적 탐구, 대학원과의 수직적 계열화를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산업체 그리고 정부가 문화콘텐츠 교육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와 창의적 접근이 실천적으로 드러나야만 한다.

This writing aims at building system for cultural contents education, and researching current condition of it, and problems to be solved. The problem of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s that its history is short and either is professional manpower. Further its field is of very wide range and it should be based on connecting study to business. It has to focus on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to be able to train global professional manpower concentrating on the practical task, and perform in-depth study of the cultural contents. To perform this education effectively, it should be premised to build integrated education system. The in-depth studies should be progressed, as developing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 and model by cultural contents` each fields, setting up the goal for specialization and the field to be specialized by schools, researching practically productive model of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systematizing vertically graduate schools. In order to perform these serial tasks successfully, academy, industries, and government should adopt a forward-looking position to cultural contents education and put approach in practice creative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