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42.128
18.117.142.128
close menu
KCI 등재
고전소설의 `천편일률`을 패러디의 관점에서 읽는 법 -전기소설 『금오신화』와 『오유란전』을 중심으로
How to Read `Stereotyped` Classical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Parody - In the Biographical Novels of Geumoshinhwa and Oyuran-Jeon
정출헌 ( Chung Chul-heon )
국제어문 38권 35-63(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69433

고전소설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우리가 고전소설의 특징으로 거론하는 `천편일률`이란 게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고전소설에서의 `천편일률`을 현대문학에서 종종 구사되는 패러디라는 관점에서 읽어볼 볼 필요가 있다. 그런 관점으로 고전소설에서의 천편일률을 음미해보면, 그곳에서 `반복의 안도감`과 `변주의 새로움`이 빚어내는 독특한 미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전근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한시가 그러했던 것처럼, 고전소설에 있어서도 典範을 적절하게 모방·활용하던 창작관습은 존중되어야 한다. 고전소설에서 모방작·아류작이라는 불명예스런 딱지를 붙이기 이전에 원작과 그것을 활용한 작품 간의 `비평적 거리`를 엄정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등신화』를 모방 또는 재창작 했다는 평가를 받는 『금오신화』를 대상으로 그 점을 따져보았다. 그 결과 『금오신화』의 <醉遊浮碧亭記>는 『전등신화』의 <藤穆醉遊聚景園記>·<鑑湖夜泛記>에서는 전혀 실감할 수 없었던 면모를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전등신화』에서의 경이로운 모티프두 개를 혼합·모방하여 전혀 새로운 서정적 미감을 자아내는 작품으로 전환시켰던 것이다. 그 점, 원작과의 비평적 거리라 부를 수 있다. 어찌 보면, 고전소설사의 전개란 미세한 또는 과격한 패러디의 과정이라 부를 수도 있다. 19세기에 창작된 <오유란전>·<종옥전>이라든가 <절화기담>·<포의교집>과 같은 전기소설 작품, 이들은 모두 파격적인 패러디를 실험하며 고전소설사의 새로운 시기를 펼쳐 나가고 있었던 것이다.

Whenever reading classical novels people feel that those novels are all the same on some ways. That is what we call `stereotype` as we men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novels. It is necessary that the `stereotype` of the classical novels should be read from the viewpoint of parody,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modern literature. When we examine the `stereotype` in the classical literature closely, we can realize the unique beauty produced by `relief of repetition` and `newness of variation` from them. As they did in the Chinese poetry in the premodern East Asian culture, it is imperative that we should respect the practice of imitating and utilizing the exemplar appropriately when writing. Before we call them dishonorable names as imitation or copy, the critical distance between original works and the works that followed the originals should be dealt with in strict fairness. Geumoshinhwa which is evaluated as imitation or re-creation of Jeondeungshinhwa is studied in this article. As a result "Chuiyububyukjeonggi" in Geumoshinhwa was newly identified as having new aspect from "Deungmokchiyuchigyungwongi", "Gamhoyabeomgi" of Jeondeungshinhwa. It is converted to a completely different work evoking new lyrical beauty by combining and copying the amazing two motives from the original works. In that respect it is called critical distance from the original. In some way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the classical novels could be called as the process of delicate or radical parody. Tales written in the nineteenth century such as Oyuran-Jeon and Jongok-Jeon, and biographical novels such as Jeolhwagidam and Poeuigyojib all experimented unprecedented parody and unfolded a new era in the history of the classical novel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