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등재
김춘수 시의 멜랑꼴리적 주체 연구
Study on Melancholy Subject in Kim Chun-Su`s Poetry Subjects Depicting
홍승희 ( Hong Seung-hee )
국제어문 68권 93-116(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48171

김춘수의 시의 주체는 무엇인가 잃어버린 것을 찾아 헤매는 슬픈 정조를 드러낸 것이 많다. 그래서 우울과 상실의 문제가 김춘수의 시에서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고는 김춘수 시의 멜랑꼴리한 주체가 과연 어떤 의미를 형성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로이트와 라깡의 기본적인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김춘수 시의 시적주체가 잃어버린 것이 바로 자기 자신임을 밝힌다. 그리고 다른 대상으로 교체가 불가능한 사랑의 그늘 안에 가려진, 주체의 욕망을 통해 주체가 찾고 있는 대상이 타자의 시선으로 확인받은 주체 자신의 모습임을 확인한다. 이는 증오와 사랑이라는 양가감정이 공존하는 뫼비우스의 띠 같은 것이다. 시적주체는 사랑의 대상과 극복할 수 없는 거리감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타자를 주체의 잉여물로 만들어 대상과 주체의 관계를 전복하려 한다. 이는 불확정한 것만이 가득한 세계에서 이질적인 것들이 보여주는 자연스러운 조화로 드러난다. 곧 주체는 스스로가 사랑 그 자체가 되기를 원했음을 알 수 있다.

Melancholy and loss play a significant role in Kim Chun-Su`s poetry. The subjects in Kim`s poetry often wander in sorrow searching for something that has been lost. Highlighting this point, this thesis aims at understanding the portrayal of these melancholy subjects in Kim`s literary work. Examining Kim`s poetry with a prior discussion on Freud`s and Lacan`s theory, this study argues that what these subjects have lost were their own selves. Understanding the desire of the subject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objects that these subjects were looking for are they themselves,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This can be compared to a Mobius strip, where ambivalence is depicted in hatefulness coexisting with love. Subjects in poetry recognize the feeling of distance, which cannot be overcom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loved ones and try to subve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objects they love by regarding the others as extensions of their own selves. This is revealed by the natural harmony of disparate things in an uncertain world. In these contexts, subjects themselves longed for being in love.

 1. 서론
2. 주체의 양가감정, 뫼비우스의 띠
3. 주체와 타자의 전복적인 관계
4. 결론: 사랑을 부르는 노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