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15.149
3.16.15.149
close menu
KCI 등재
조선 후기 선서(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 『증정경신록(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Factors on the Adoption and Prevalence of Goodness Books(善書) in the Late Joseon -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and Gyeongsinrokeonseok -
이태희 ( Lee Tae-hee )
국제어문 69권 99-126(2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37585

조선 후기에 성행한 민간도교의 선서는 당대 사회의 동요에 대응하는 사상계·종교계의 대안의 하나였다. 경기도 양주 불암사에서 간행된 한문본 『增訂敬信錄』(1795)과 언해본 『경신록언셕』(1796)은 청나라에서 가장 유행한 선서인 『경신록』을 저본으로 간행된 조선 최초의 선서이다. 『증정경신록』은 역대의 중요한 선서와 권선문을 찬집한 선서의 종합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여기에는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교리를 비롯하여 생명윤리와 생활의학 등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경신록언셕』은 『증정경신록』에서 민간에서 요긴하게 쓰일 만한 내용을 뽑고, 여기에 「행불비전공덕례」와 「공과격찬요」 등 功過格 계통의 선서를 補入하여 언해한 책이다. 『경신록』이 사찰에서 간행된 것은 권선징악과 인과응보라는 주제가 불교와 합치되기 때문이며, 특히 조선 후기 사찰의 주요 독서 대상이었던 『명심보감』과 내용상 공통점이 있어 『경신록』 수용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한편 『경신록』속의 靈驗記는 선악 응험의 경험담을 敍事文 형식 속에 담아내 독자들에게 오락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주고 있어, 이것이 선서의 민간 파급에 영향력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증정경신록』과 『경신록언셕』은 선서가 대단히 성행한 고종 대1880년에 왕명으로 다시 간행·유포되었는데, 이로써 이 책들이 조선 후기 유통된 선서 중에서도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Goodness Book of Folk Taoism was widely read during the late Joseon w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thought and religion to cope with the social unrest of the time.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1795) published in Bulamsa, Yangju, Gyeonggi-do and the Korean annotation version, Gyeongsinrokeonseok(1796) was the first Goodness Book in the Joseon based on Gyeongsinrok, Goodness Book that was most popular in the Qing dynasty. Gyeongsinrok has its high value as a collection of Goodness Books compiling cardinal chronicles of Goodness Books with didactic writings. Various contents of living ethics and living medicine as well as doctrines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retributive justice` are in Gyeongsinrok. Gyeongsinrokeonseok is a book that has the content educed from Gyeongsinrok and requisite to the folk with Korean annotations supplemented with Goodness Book from the realm of Gongguoge(功過格) including Hangbulbijeongongdeokrye(行不費錢功德例) and Gongguoge-chanyo(功過格纂要) The reason that Gyeongsinrok was published in Buddhist temples was because of the subjects of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retributive justice` were in good accord with Buddhism, and especially for the adoption of Gyeongsinrok, helpful was the content of Gyeongsinrok common with Myeongsimbogam, one of primary reading objects in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Joseon. In the mean time, Yeongheomgi(靈驗記) in Gyeongsinrok presented stories of experiences from `virtue and vice and retribution` in a narrative form which evoked amusement and confidence to readers, all of which are found to be an influence in far-reaching effects of Goodness Book to the folk. Gyeongsinrok and Gyeongsinrokeonseok were re-published and distributed in King Kojong in 1880 when the Goodness Book were much prevalent, and thus these books were found to be regarded as important among the Goodness Books in circulation in the late Joseon.

 1. 머리말
2.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간행과 유포
3. 한문본 『增訂敬信錄』과 언해본  경신록언셕 의 내용
4. 『敬信錄』의 수용과 유포의 요인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