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02.167
3.144.202.167
close menu
KCI 등재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 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 유형
User`s Perception on Personalized Space in Mobile Messenger Applications
윤정은 ( Yoon Jeong Eun ) , 김현석 ( Kim Hyun Suk )
UCI I410-ECN-0102-2018-600-000460738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개인화 공간은 계정 소유자임을 알리는 공간으로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작 및 정의한 일종의 맞춤형 공간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개인화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Q방법론과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통해 유형의 분류 및 해석을 하였고 프라이버시에 관한 상세한 연구를 위해 Q표본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상세한 결과를 얻었다. 각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자기표현방식`, `관찰`에 관한 유형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4가지 사용자 유형으로 1) 프라이버시 민감형(프라이버시에 가장 민감한 유형, 2) 개인정보 표현형(개인화 공간에 자신에 대한 소재의 정보를 올리고 프라이버시에 민감하지 않은 유형), 3) 개인화 공간 기록형(일상생활 속 사진을 올리며 히스토리로 남기는 유형), 4) 감정표현 추구형(남들의 평판에 대하여 신경 쓰지 않고 상태 메시지를 통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 노출의 부분을 개인화 공간이라고 명명하고,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개인화 공간을 주관적 인식을 기반으로 유형 분류와 해석을 하였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The personalized space of the mobile messenger application is a customized space that presents information of the account owner`s selectively manipulated and defined preference. In this study, we classify and analyze the types of users who use personalized space in mobile messenger application and analyze them through Q-methodology and in-depth interview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 obtained detailed resul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Q sample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 analyzed the common features of each typ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privacy`, `self - expression`, and `observation`. In results, we categorized four types of users: 1) Privacy Sensitive type (most sensitive to privacy), 2)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ype (reveals most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s. least sensitive to privacy), 3) Personal Information Archive type (history in photographs of everyday life), 4) Emotional expression (express personal emotions through the status message without being conscious of others` eyes). In this study, we named the part of self - exposure as the personalized space an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s classifications and analysis of subjective recognition of personal spa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