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36.141
3.144.36.141
close menu
KCI 등재
`프란츠 파농 담론`의 한국적 수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acceptance aspect of `Frantz Fanon discourse`
차선일 ( Cha Sun-il ) , 고인환 ( Ko In-hwan )
국제어문 64권 215-244(3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60833

이 글은 일차적으로 프란츠 파농의 사상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역사적으로 되돌아봄으로써, `파농 담론`이 수용된 사회적 맥락을 구체화하고 파농을 어떻게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고유한 역사적 국면 속에서 살아있는 파농을 구제하고 현재적 사상가로서의 파농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나아가 한국의 현실이 요구하는 `파농`을 새롭게 창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제3세계의 민족해방운동의 이론적 공급원 중 하나였던 비서구 출신의 실천적인 사상가 파농이 국내 학계와 문화계에 유입되는 과정은 몇 단계의 굴곡과 우회를 포함하고 있다. `파농 담론`이 실질적으로 받아들여진 1971년 이후의 수용사를 되돌아보면, 전반적으로 동시대 파농 해석의 국제적 조류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국내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상황과 맞물려 특징적인 양상이 빚어진다. 1970~80년대에 군부독재권력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맥락에서 파농의 사상이 민주주의 이론으로 재해석되었던 것이 단적인 예다. 한편1990년대 일시적인 공백기를 지난 이후 2000년대의 `파농 담론`은 제1세계에서 탈정치적으로 해석된 파농에 대한 비판적 접근이라는 동시대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파농의 정치성을 복권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파농의 탈서구화와 정치화를 주장하는 목소리는 비판적 담론 이상의 구체적 · 실천적 논의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제1세계로부터 파농을 구출하려는 바로 그 안건에 비판적으로 함축된 서구중심주의를 탈피하지 못했다. `파농 담론`의 수용사에서 반성적으로 되물어봐야 할 것은, 파농이라는 제3세계 출신의 흑인사상가를 수용하고 이해하는 우리의 시각이 은연중에 서구중심주의와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감염되어 있거나 암묵적으로 동조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파농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파농의 텍스트를 올바르게 독해하는 것도 파농을 현실적 상황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만도 아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우리의 역사와 내면에 뿌리내린 서구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해부하고 성찰하는 것에 달려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학제간의 장벽을 넘어서는 상호적 노력을 통해 성취되며, 한국문학과 외국문학, 나아가 비서구문학과의 소통과 연대를 위한 토대 구축의 논의와 맞물려야 한다. 파농을 읽는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지평 속에서 읽는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ceptance aspect of `Frantz Fanon discourse.` Since `Fanon discourse` first started to be accepted in 1971, it has continued to be the center of attention and a matter of discussion until now, passing through a short hiatus period in the 1990s.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in the 1970s~1980s can be summarized into the image of `Fanon as a democracy fighter.` As reflection on violence was made a subject of discussion among various discussions about Fanon, a viewpoint of Fanon`s idea as the theory of democracy rose as influential discussion. This aspect means that `Fanon discourse` was accepted as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resistance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those days. On the other hand, in the 1990s, `Fanon discourse` met a temporary lull. As post-ideological era has come, a sociocultural interest in politically interpreted Fanon has sharply decreased. However, the name of Fanon was reinstated as postcolonialism theory rose in postmodernism trends. In the 2000s, `Fanon discourse` explosively increased. And in that tim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ccepting `Fanon discourse` was to be brought into relief as critical rival horse against occidentalized postcolonialism theory. However, this image as a critic is also following the contemporary discussion in the West in exactly the same way. And this point of view may be also regarded as occident-centric result. The fact that there is no case `Fanon discourse` is used as a theoretical tool of interpreting and intervening in sociocultural situation in Korea is a supporting evidence for that. The reason why `Fanon discourse` has lost a link to be grafted on realities since the 1990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Fanon is a `black thinker.` In particular,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Fanon`s image as a thinker of violent struggle stuck to him, and it was impossible to accept `Fanon discourse` inside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among discussions about Fanon, a discussion about criticism on racism was relatively rough, and so on. Finally, the acceptance of `Fanon discourse` born outside the West from an occident-centric viewpoint is the Korean situation of discourse.

1. ‘파농 읽기’의 특수성
2. 1970~80년대 ‘파농 담론’ 수용 - 민주화 투사로서의 파농
3. 1990년대 이후 ‘파농 담론’ 수용 - 탈정치화된 이론가로서의 파농
4. 도래하지 않은 ‘검은 파농’, 비서구 문학의 연대를 위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