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249.158
3.22.249.158
close menu
KCI 등재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KSL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Operation Cases
홍종명 ( Hong Jong-myung )
국제어문 64권 273-295(2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60853

본고에서는 2012년 고시된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문화 예비학교에서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크게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 평가 체계, 교사 전문성 등 세 가지 범주에서 내용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KSL) 교육과정 구성 원리인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가 현장 관계자들에게는 이해가 잘 안되고 서로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자는 `공통 한국어`로, 후자는 `교과 한국어` 등으로 재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두 영역이 통합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외국의 자국어 학습 모델에서 주로 쓰이는 내용중심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였다. 평가 영역에서는 진단 평가 도구가 사용 방법과 채점 면에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간이형 진단도구 개발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수료 시 사용하는 성취도 평가는 아직 평가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시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문제에서는 전반적으로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관련 영역의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특화된 연수 등 전문성 확보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on how to improve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for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2. Through the interview with teachers of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s, w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KSL curriculum based on the three categorizations such as the issue of `daily life Korean` and `academic Korean`, evaluation system, and the issue of teacher professionalism. Firstly, the KSL curriculum appeared to be in need of improvement because teachers of KSL schools did not understand `daily life Korean` and `academic Korean` properly. They were aware of it as what is even opposed to each other. We proposed the term of `common Korean` and `class Korean` respectively as an alternative. We also proposed Content-Based Instruction models commonly used in the foreign countries with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Next, the diagnosis test tool was shown to be less practical in how to use the scoring. The problem will be solved if simple diagnostic tools are developed. In addition, the achievement assessment tools used to determine the school returning are urgently needed because they are not developed yet. Lastly, the teachers appeared to be lack of overall understanding in KSL curriculum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use of a standard textbook, etc. They proposed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including ways to secure expertise.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