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6.77
3.15.6.77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의문문의 억양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Intona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이명진 ( Lee Myung-jin )
국제어문 64권 297-321(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60868

이 연구의 목적은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억양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형태적으로 동일한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은 문장의 억양에 따라 설명 질문과 가부 질문으로 구별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의도에 맞는 적절한 억양을 사용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한국어 의문문의 억양 교육 모형을 `제시-연습-활동`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먼저 제시 단계에서 문장의 억양을 청각적, 시각적 자료를 통해 인지하도록 하였다. 다음 연습 단계에서는 문장 단위에서 긴 대화문까지 단계별로 억양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고, 마지막 활동 단계에서는 학습한 억양을 점검할 수 있는 평가 문항과 대화문 만들기 등을 구성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억양 교육 모형의 효과를 논의하기 위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문 억양 곡선을 교육 전과 후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억양 교육 전에는 두 의문문의 억양을 비슷하게 발화하였으나 교육 후에는 의문문의 의미 차이에 따라 억양을 구별해서 발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around `yes-no question` and `wh-question`. Morphologically the same `yes-no question` and `wh-question` are classified into identification question and question of yes or no according to the intonation of quest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 model of intona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s into three steps as `suggestion-practice-activity` for Korean learners to make smooth communication by using appropriate intonation by their intentions. First, the intonation of sentences were designed for learners to perceive through auditory and visual materials in suggestion stage. Then, it was designed for learners to acquire intonation by step from sentence unit to long conversation in practice stage, and organized evaluation questions and exercise of creating conversation sentences that learners can review intonations they learned in last activity stage. To discuss the effect the intonation education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the interrogative intonation pattern of Chinese stud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it into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learners spoke intonation of the two questions similarly before the education, but they spoke intonations differently by classifying the difference of questions after the education.

1. 서론
2. 선행연구
3. 억양 교육 모형
4. 억양 교육 모형에 따른 수업 효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