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66.214
18.226.166.214
close menu
KCI 등재
이병기의 시조론과 「문장」의 기획
Lee Byunggi`s Theory of Shijo and the Literary Project of Munjang
오문석 ( Oh Moon-seok )
국제어문 66권 259-287(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48919

시조의 현대화는 최남선과 이병기를 통해서 시작되었지만, 둘의 방식은 달랐다. 최남선은 시조가 우리 민족의 가장 오래된 `노래`인 점을 강조하면서, 그것을 시조부활의 근거로 삼았다. 시조에서 구전문화의 흔적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복원하려 한 것이다. 반면에 이병기는 시조에서 구전문화의 흔적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시조가 문자문화에 적응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시조의 현대화는 옛시조의 복원이 아니라 시조의 `문학화`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학`이라는 개념이 문자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학의 하위 장르인 자유시를 시조의 모델로 설정한 것이다. 정형시(=시조)와 자유시의 공존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이병기의 과제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그는 시조창(唱)과 시조작(作)의 역할 분담을 제안하여, 시조작을 노래로부터 해방시켰다. 현대시조가 문학이 되려면 `부르는 시조`가 아니라 `짓는 시조`(`읽는 시조`)가 되어야 했던 것이다. 또한 시조는 자유시 못지않게 그 리듬이 다양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내용과 형식(리듬)의 일치를 강조하는 현대시의 조건을 수락한다. 더구나 현대시의 조건이 언어의 자각에 있음을 이용하여, 시조야말로 조선어의 오래된 언어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으며, 조선말을 조선말답게 사용하는 장르임을 강조하고 있다. 일종의 언어민족주의를 내세운 것이다. 이병기의 시조론은 따라서 그의 초창기 한글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식민지 말기 『문장』에서 시도하였던 것, 즉 내간체 문장을 통한 현대 문체의 교정 작업에 이어지는 발상이다. 이병기가 『문장』의 수장(首長)인 이유가 시조론에서 드러난다.

The modernization of shijo(시조) was triggered by two great poets, Choi Namsun(최남선) and Lee Byunggi(이병기). Yet the two poets took different paths. First, Choi believed the shijo is one of the oldest "songs" that had grown out of the oral tradition of Korea. He thus tried to restore its original form because for him the traces of oral tradition is the hallmark of shijo. Meanwhile, Lee emphasized that shijo should be readjusted to a written language by divorcing itself from the oral tradition. He believed that the modernization of the shijo was possible only when it was "literaturized". Literature, he thought, belonged to written or print culture, not to oral tradition. That is to say, for him, literature is the very product of modernization and the free verse is the symbol of modern literature. Accordingly, he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shijo with modern free verses. To do so, he separated shijo-writing from shijo-singing. It was because, in order for shijo to be included within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it needed to be a verse for writing and reading, not for singing and listening. He also thought shijo was not far from the literary trend of modern poetry emphasizing the agreement between form and content because shijo, like modern free verses, has a variety of rhythm and beats. Additionally, he believed modern poetry could develop only when it was written in a vernacular (or national) language. was thus a perfect genre because it was a reservoir of old Korean language. In this respect, Lee was a linguistic (cultural) nationalist. His theory of was on the same line with Hangul Revival Movement. It also could be seen as a part of a larger literary movement--led by the literary magazine (『문장』)which brought about a revolutionary shift in style by using feminine epistolary style. Lee was actually the leader of .

1. 현대시조의 조건
2. 전통을 복원하는 두 가지 방법 - 최남선과 이병기의 거리
3. 현대시조의 리듬론 - 자유시 지향성
4. 현대시조의 언어론 - 고시조 지향성
5. 현대시조와 한글문체의 개혁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