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12.220
18.221.112.220
close menu
KCI 등재
박목월 시와 모성회귀 판타지
Park Mok-Wol`s Poetry and Fantasy of Motherhoodness
김응교 ( Kim Eung-gyo )
국제어문 66권 289-331(43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48924

이 글을 통해 박목월 시의 변이양상과 일관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동시에서 동심이 주는 편안함, 반복이 주는 편안함, 초기시집인 『청록집』, 『산도화』에서 공상의 세계가 만든 자연의 판타지를 보았다. 둘째, 중기시집인 『난·기타』, 『청담』에서부터 일상적인 아버지 화자의 등장과 사투리의 사용을 확인해 보았다. 셋째, 후기시에서 어머니의 등장과 모성회귀본능의 반복과 영원한 안식이 주는 `모성적 신성`을 설명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들이 따로따로 떼어져 있거나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농경정서-판타지-모성회귀본능-모성적 신성`이 하나의 다발로 다양하게 변주(變奏)되는 것을 보았다. 다만 초기시에서 보여주었던 판타지 효과는 모성이 직접 드러나지 않았기에 가능했다. 후기 시에서 모성이 `어머니`라는 이름으로 직접 등장하면서, 판타지 설정을 위해 긴장관계가 무너지고 암시(暗示)의 효과도 사라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있다. 박목월 시의 판타지의 비밀인 모성(母性)이 직설적으로 드러나면서 시적 긴장감이 있는지 사라졌는지 판단해야 할 문제다. 질식할 것만 같았던 식민지 시대에 판타지를 전해주려 했던 시인 박목월은, 한국전쟁 이후 쉴 수 없었던 일상의 고단함에서 모성회귀를 통한 낙원에의 동경 그리고 가족시와 신앙시를 통해 새로운 쉼을 전해주려 했다. 그가 보여준 “흔들리는 남편의 모습”과 “아내의 미소”는 이 탁한 세상을 이겨나가고자 했던 한 시인의 고투(苦鬪)였고, 과감히 생략했던 저 여백의 미는 한국문학사에 종요로운 고전으로 남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how how the existence of poetic ego generates poetic meanings and what metaphoric meaning systems are constructed in Park Mok-Wol(1916-1978)`s poetry. First, Park`s concepts of children`s poetry could be evaluated as realism and theory of childlike innocence. Park`s poetry in the anthology `Choeng-rok` maximizes and idealizes the "nature" beyond the poetic speaker`s perspective. His poems involve the sadness and sense of isolation resulting from the gap between Colonial reality world and ideal world. Second, after his experience in the harrowing Korean War, Park`s work shifted in style; he strove to incorporate the pain, death, and even monotony of daily existence. Park mok-wol"s 《Dead leaves of Kyongsang Provinc e》 is forming rhythm through repeat of poetic language, verse, and deepen meaning. Second, The consciousness of mother"s absence is conspicuous in his "Mother" poems, which is the key of understanding lyric origin centered in Mok-Wol"s poetic creation. The image of "Mother" in his poems is emphasized in various ways: the first, the image of parents, the second, the image of narrative Nature, and the last, the image of theological Motherhood.

1. 서론 : 현실과 판타지
2. 동시 속의 엄마 - 「송아지」, 「해바라기」
3. 판타지의 탄생 - 「청노루」, 「산도화」, 「산이 날 에워싸고」
4. 일상의 아버지 - 「사투리」, 「만술 아비의 축문」, 「가정」
5. 어머니, 모성회귀본능 - 「부륵쇠」, 「가정」, 「모성」, 「갈릴리 바다의 물빛을」
6. 결론 : 현실과 환상의 화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