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7.45
3.144.17.45
close menu
KCI 등재
1920년 초반 행복 개념의 문화정치적 상상력
The Cultural Political Imagination of a Concept of Happiness in the Early 1920s
최병구 ( Choi Byoung-goo )
국제어문 67권 367-391(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52879

이 글은 1920년대 초반 행복 개념의 문화정치적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ㆍ1 운동 이후 식민지 조선에는 도덕과 감정에 기초한 국가체제에 대한 인식이 담론장을 풍미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통치체제는 조선 민중의 행복이라는 감정을 위해야 한다는 비판적 언설이 대세를 이루었다. 비록 이러한 인식과 비판이 현실에서는 이루어지기 어려웠지만 그 과정에서 행복의 감성은 정치와 문학을 매개하는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 사적 행복이 아니라 공적 행복을 위해 나의 정념을 투영해야 한다는 의식이 폭넓게 확산된 것이다. 이 시기 수많은 사회운동단체들의 설립과 그들이 발간했던 문학잡지들은 대표적인 사례가 된다. <경성청년구락부>가 발간한 잡지 『신청년』의 경우 `공감`이라는 감정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cultural political meanings of happiness in the early 1920s. After Samiljeol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ay), the recognition of national systems based on moral and sensibility was predominated in the discourse sphere in the colonial Chosen. Accordingly, a critical remark that a ruling system of Japan should care for happiness of the people in Chosen was prevalence. Although this aforementioned recognition and criticism of the ruling system could not achieve real change, these efforts allowed the emotion of happiness to be placed as a tool to mediate politics and literature. The consciousness of reflecting my emotion for public happiness not private public was pervasive. New definitions regarding the emotion of subjects mediated by happiness heavily impacted literatur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established in this period distributed new literary/political emotion through publishing literature magazines. “Sin-cheong-nyeon” published by “Gyeong-seong-cheong-nyeon- gu-rak-bu” provided empathy.

1. 문제제기: 분화되는 행복
2. 3ㆍ1 운동과 식민지 정치체제 비판의 논리
3. ‘동정’이라는 감정, 문학적 상상력
4. 줄이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