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41.202
3.138.141.202
close menu
KCI 등재
이기영의 광산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연구 - 이기영의 『동천홍』과 「광산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ng in His Mine Novels - Centered on 『Dongcheonhong』 & 「Gwangsanchon」 by Lee Ki Young -
황지영 ( Hwang Ji-young )
국제어문 67권 393-422(3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52884

본고는 1940년대에 창작된 이기영의 광산소설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전시총동원 체제가 발동된 이후에 이기영의 작가의식이 놓인 자리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기의 이기영은 제국 일본이 참여하는 전쟁에 동조하는 서술들을 작품속에 직접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작가의식이 논리적 파탄을 맞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기영의 친일문제를 논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은 이 시기의 작품들 안에서 발견되는 내재적 요소들을 계열화하여, 전향 전과 달라지는 이기영의 작가의식의 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이다. 이기영의 광산소설에서는 야생에 가까웠던 자연 공간이 문명화되고, 농업과 대비되는 광업의 특징과 기계를 노예처럼 부리고자 하는 숙련공들의 욕망이 드러난다. 그리고 조선인 광부들이 무절제한 생활을 이어나가는 광산촌에 지식인 노동자가 출현하여, 다른 광부들의 시간과 소비를 통제하고 이들이 산업전사가 될 수 있게 이끈다. 광산소설의 이러한 구도는 소설 속에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국책에 대한 협력의 수사들과 함께 이기영의 작가의식이 `대동아공영`이라는 제국의 담론에 융화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국 친화적인 작가의식의 저변에 놓여 있는 것이 목적론적 역사관, `유물론`과 `변증법`적 사유, 그리고 `노동`과 `발전`에 대한 감각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전쟁으로 인해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그가 카프에서 활동할 당시에도 존재했었다. 이기영은 1940년대가 되면서 제국 일본이 원하는 자발성과 순응성을 동시에 지닌 식민지 조선인의 형상을 광산소설 속에서 창조했다. 하지만 카프 해산 전에 그가 보여주었던 계급의식의 자리를 제국의 요구가 온전히 채울 수 없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작품들에서는 미세한 균열들이 포착된다.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a place wher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is placed after wartime mobilization system focused on his mine novels created in 1940s. In such a period, Lee Ki Young was criticised for logic rupture of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that he exposed narratives supporting the war where imperialistic Japanese participated into the work directly. However, before discussing the pro-Japanese issue of Lee Ki Young, the priority is placed on drawing a topographical map o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by systematizing elements inherent in these periods` works. Mine novels by Lee Ki Young show the civilized natural space which had been almost wild in the pre-post war, characteristics of mining contrasted with agriculture and desire of skilled workers attempting to manage machines like a slave. Besides, in a mining town where Joseon miners led an intemperate life, an intellectual worker appears, controls time and consumption of other miners, leading them to industrial warriors. Such a composition of mine novels, along with rhetoric of following a national policy appeared in the novel straightforwardly, makes us infer that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was mixed with discourse from the empire. `Materialist` and `dialectic` ideas, a sense of `development` and `practice` maintain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Lee Ki Young for a long time create an image of Colonial Koreans having both spontaneity and conformity wanted by the imperialistic Japanese since 1940s.

1. 총동원체제와 이기영의 광산소설
2. 원시공간의 개발과 광부들의 순박한 무지
3. 광업의 원리와 기계를 넘어서는 인간
4. 노동하는 철학자와 계측/통제의 시선
5. 기능주의적 협력과 공백의 의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