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01.173.244
34.201.173.244
close menu
KCI 등재
정성일의 <오아시스>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 정성일 영화비평에 대한 일고찰 -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Sung-il Jung`s Film Critique - Regarding the `Argument on < Oasis >` and Critique about < Oasis > of Sung-il Jung -
박우성 ( Park Woo-sung ) , 정수완 ( Jung Su-wan )
국제어문 67권 499-539(4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52920

본 연구는 영화비평가 정성일이 <오아시스>(이창동, 2002)에 대해서 쓴 비평문「판타지, 기만적인 환영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간 한국영화계에서 영화비평은 독립적인 분과로 논의되지 못했다. 산적하는 영화들 안에서 영화적 가치를 발굴해 정리하고 새로운 영화 언어를 대중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영화비평의 역할이라 했을 때 이는 문제가 있다. 영화비평에 대한 그간의 접근은 한국영화사의 맥락에서 특정 영화비평집단을 세대론적으로 조망하거나 특정 개인의 비평 세계를 전기적 관점에서 서술한 것에 머문 한계가 있다. 정성일은 1990년대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비평가이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의 글은 대중들 사이에서 영화비평이라는 개념이 성립되는 과정에 주요한 이미지를 제공했다. 특히 본 연구가 다루는 정성일의<오아시스> 비판은 논쟁 참여를 전제해 작성된 덕분에 비평담론 자체가 중심에 서있고 무엇보다 정성일의 영화에 대한 태도가 여타의 글에 비해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더구나 그 논쟁은 영화의 윤리, 완성도, 자의식 등을 두고 벌어진 영화비평계 내부의 마지막 논쟁이라는 영화비평사적 의의도 있다. 나아가 영화 한편에 대한 긴 글이기 때문에 한국의 대표적 비평가가 영화를 비평하는 구체적 실천 양상이 현장감 있게 녹아 있기도 하다. 영화를 종교처럼 대한다는 비판이 존재하지만 정성일 영화비평의 경쟁력은 숏의 배치, 장르 문법, 카메라 시선과 같은 영화의 자의식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에서 나온다. 영화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기반을 둔 이런 태도는 영화를 여타의 학문에 종속시킨 종래의 비평 태도와 차별되며 영화를 진지하게 바라보는 태도를 대중화시킨 의의가 있다. 하지만 그것만큼의 오류도 발견된다. <오아시스>를 비판할 때 투영되는 정성일의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 영화비평가의 개성적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독립적인 분과로 인식되기는커녕 죽음까지 운운되는 영화비평의 위기 시대에 한국의 대표적 영화비평가의 세계관이 상징적으로 녹아 있는 글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의미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que “Fantasy, deceptive hallucination” which sung-il jung wrote about < Oasis >(Changdong Lee 2002). Film critique has not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s an independent fiel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o far. It can be problematic if the role of film criticism is to get the cinematic values arranged among the pile of films and to translate new cinematographic language into the public language. The approach to the film critique to this point has limitation that in the context of Korean film industry, it viewed certain group of film critics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generation and it described certain person`s world of criticism in a biographical way. sung-il Ju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lm critics in Korea who lead the golden age of Korean film criticism in the 1990s. His writings provided important im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ilm critique among the public, even though they are controversial. The Jung`s criticisms this study exclusively deals with are based on the premise of argumentative participation, so the discourse is central and fundamental, and it brings out the cinematic view of Jung precisely compared to the other writings and articles, which is the advantages of this study. Moreover, the argument has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film criticism for being the last dispute inside the field of film critique over the morals, degree of comple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identity. Above and beyond, because this paper is a long writing about a movie, it contains detailed and vivid practical aspect which the representative critic of Korea criticizes the movie. Although there are criticisms of discussing movies like a form of religion, sung-il Jung`s film critique is competitive for detailed and precise analyze of films` sense of identity such as plot of shots, code of genre, and the eyes of cameras. This attitude based on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is film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popularizing and promoting earnest attitude toward movies, and is differentiated with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criticism which are to subordinate films in the other fields of study. However, due to being so, some errors are dis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outlook a distinctive world view of a film critic who enjoyed the film critique`s prime by concretely describing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ough revealing Jung`s point of view which is his prerequisite for watching movies. The work of precise analyzing of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film critics` writings which contains symbolic world view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by itself in the time of the film criticisms` crisis when the idea of the demise of film criticism is being mentioned, let alone its separation as the independent field.

1. 서론
2. <오아시스> 논쟁과 정성일 영화비평의 경쟁력
3. 정성일의 <오아시스>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