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56.45
3.19.56.45
close menu
KCI 등재
제도이론과 다국적기업의 현지국 사회안전망에 대한 기여: 기업적 관점에서
Institutional Theory and MNEs` Contributions to Social Safety Net in Local Markets: Subsidiary Perspective
( Rudolf Sinkovics ) , 박병일 ( Byung Il Park )
UCI I410-ECN-0102-2018-300-000460931

본 연구는 제도이론을 활용하여 다국적기업 자회사가 사회안전망에 기여토록 견인하는 현지국의 외부 제도적 압력과 내부 제도적 압력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었다.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얻은 실증결과에 의하면, 정부에 의해 제정되는 강제적인 법규보다는 현지국의 전통과 관습 등을 아우르는 규범적 특성이, 또한 이 보다는 도덕과 윤리를 강조하는 현지국의 사회·문화적 분위기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반면, 다국적기업 본사는 현지국에 대한 기여보다는 선천적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조직의 효율성 증진과 이익극대화에 관심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회사로 하여금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어떤 요소보다도 내부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에 근무하는 국내 관리자들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Using institutional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key external and internal institutional pressures that act to facilitate MNE subsidiaries` contributions to social safety nets in local markets. According to regression results, coercive law (i.e., regulatory pillar) enacted by governments does not function as a vehicle to enhance this phenomenon. By contrast, normative pillars encompassing traditions and social customs enforce MNE subsidiaries to be good citizens. Moreover, cognitive pillars represented by morals and eth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among the external institutions. With respect to internal institutions, it was unexpected to find that parent firms, which are interested in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profit maximization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actually played a negative role when it comes to building social safety nets in host econom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found that the internal managers were a decisive factor and powerful role in establishing local social safety ne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to managers and policy makers.

Ⅰ. 서 론
Ⅱ. 제도이론과 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및 토론
Ⅴ. 결 론
References
<부록> 독립변수 측정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