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194
3.131.13.194
close menu
KCI 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환류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hild Assessment Model Based on Nuri-curriculum
한석실 ( Han Suksil )
DOI 10.22155/JFECE.24.1.1.26
UCI I410-ECN-0102-2018-300-000459007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문헌분석을 통해 유아평가의 기본 원칙을 설정하고, 유아평가에 포함되어야 하는 평가요소들을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요소를 평가과정에 적용한 절차를 고안하였다. 개발된 유아평가모형 시안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검증된 모형에 대해 현장 교사 1인의 한 학기 현장적용을 실시하였다. 현장적용 후 문제점을 보완하여 유아평가를 위한 최종 평가환류모형을 개발하였다. 누리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모형에서는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에서 준수해야할 유아평가의 기본원칙을 정하였다. 또한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으로 나누어 개념화하였다. 거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기관의 운영방침에 따라 1년 또는 한 학기(분기별)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진단평가-형성평가-총괄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미시적수준의 평가절차는 주, 일 단위또는 활동 단위로 진행되는 절차로 평가질문, 자료수집, 자료해석, 교수학습계획에 반영되는 환류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미시적 수준의 평가절차는 거시적 수준의 형성평가 과정에서 일어나는 한 단위의 평가환류 절차를 의미한다. 본 모형에 근거한 평가를 통해 유아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을 이해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할 수 있어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 assessment model which was designed to accompany 3-5 Nuri-curriculum.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1) through literature review, principles for child assessment were determined, assessment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ssessment procedure was designed, (2) theoretical robustness and utilities of tentative model were validated by 8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revised model was tested during a semester by one teacher, (4) after complementing the problems, final assessment model was suggested. Assessment model was consisted of four elements: purposes, contents, methods, and usages of assessment. Assessment procedures were conceptualized on macro level and micro level, respectively. On macro level, assessment proceeded screening or readiness assessment, formative assessment, and summative assessment throughout the year. On micro level, assessment had cyclical process involving four steps like `ask question`, `collect data`, `interpret data`, `take action`, and it was essential to formative assessment. On the basis of this model, children`s progression on development and learning were observed and recorded systematically. Teachers could review the collected data, interpret child`s behavior, and make a plan of action to change or improve teaching strateg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