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5.239
18.119.105.239
close menu
KCI 등재
어머니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o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조부월 ( Cho Boowall )
DOI 10.22155/JFECE.24.1.91.115
UCI I410-ECN-0102-2018-300-000459047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 B, M, H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6세 325명과 그들의 어머니였으며, 연구수행을 위해 어머니의 정서지능 검사, 행복감 질문지, 유아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 중 정서표현 및 인식과 유아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애착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어머니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녀의 바른 성장으로 인한 행복감과 유아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자기통제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정서지능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정서인식 및 표현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정서조절, 어머니의 여가에 대한 행복감, 자녀의 바른 성장에 대한 행복감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정서 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에 가장 강조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더불어 여가활용에 대한 배려, 자녀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and their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More specifically, the dependence of the ego-resilience on each factor and the relative influencing strength of each factor to the ego-resilience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25 pairs of a young child and his/her mother in Kyeunggi-Do, Korea.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2016, and 325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used. Th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values using SPS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pendence betwee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 .672, p < .01). Second, also, happiness of the mothers showed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 .560, p < .01) with the ego-resilience of the young children. Lastly, when the strength of each variable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as considere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was the most effective one,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second. The mothers` leisure was the third, children` growth expectation was the fourth.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a model of effective parental attitude and behavior method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