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29.113
3.15.229.113
close menu
KCI 등재
영아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Infant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장현진 ( Jang Hyun-jin )
DOI 10.22155/JFECE.24.1.139.161
UCI I410-ECN-0102-2018-300-000459067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영아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142명이다. 은유 분석은 질문지“영아는 ~이다. 왜냐하면 ~하기 때문이다.”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내용분석 방법으로 실시했다. 은유 분석 결과 영아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은 돌봄이 필요한 존재, 연약한 존재, 예측할 수 없는 존재, 환경의 영향을 받는 존재, 순수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잠재력을 지닌 존재, 탐구 능력을 가진 존재, 성장하는 존재의 총 8가지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를 빈도 분석한 결과, 예비 유아교사는 영아를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세상을 탐구하는 능동적 존재보다는 돌봄과 보호가 필요한 대상으로, 그리고 교사나 부모에 의해 주어진 환경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 영아 보육에 관한 예비 유아교사의 다양한 관점을 알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으며, 나아가 영아 교사 양성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infant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Study targets were 14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 to 3-year colleges in the capital area, majoring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metaphorical analysis, a content which is described in “Infants are ~ because they do ~.” was analyzed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t the metaphorical analysis result, recogni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eight such as existence necessary for caring, feeble existence, unpredictable existence, existence receiv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pure and lovely existence, potential existence, existence having exploration ability, and growing existence. At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f each categor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high tendency of recognizing infants as objects necessary for caring and detection rather than active existence that composes knowledge for himself/herself and explores the world and perceiving them as passive existence responding to environment given by teachers or parents. The study result provided an opportunity to know diverse viewpoi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infants and child care. Further, there is a meaning in that the study presented implication on education of training infant care teacher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