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26.74
52.14.126.74
close menu
KCI 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훼손된 여성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distorted images of women in O Jang-hwan`s poetry.
양소영 ( Yang So-young )
국제어문 60권 401-431(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83436

본고의 연구 목적은 오장환 시에 나타난 `매음녀`와 `음부 마리아` 라는 훼손된 여성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그동안 그의 시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매음녀`와 `음부 마리아`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장환은 `매음녀`라는 훼손된 여성을 자신의 시 속에 등장시키며, 퇴폐적으로 묘사했다. 시인부락 동인이였던 오장환이 `성녀마리아`마저 불결하게 만들며, 타락의 극점을 보여줬다. 하지만 그는 그녀들을 통해 퇴폐와 성스러움의 단순한 이분법을 넘어서 더 본질적인 면을 추구했다. 우선 오장환 시에 결핍과 상실의 심리가 많이 나타나 있다. 이는 그의 신분제도와 연관된다. 게다가 그의 상실감은 그를 항구로 떠돌게 만들었다. 특히, 그의 항구 주변은 그로테스크한 곳으로, 이곳에서 그는 존재론적 기반이 흔들리며, 내면의 유폐된 상태를 보여준다. 그 결과 소외와 상실감은 더욱 극점에 다다른다. 하지만 항구에서 느낀 비천한 존재의 슬픔은 오히려 자신의 내면의 본질에 대해 진실하게 대면하게 되고, 자신이 느끼는 여러 결핍감에 대해 좀 더 자유로운 사고를 하게 된다. 자신이 느끼는 결핍감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하게 만든 대상은 바로 매음녀이다. 그의 시 속에 등장하는 매음녀는 차갑고 슬픈 존재이다. 하지만 이런 매음녀는 시인 자신과 동일시된 존재이며, 그녀 속에서 자신의 진실한 내면의 본질을 찾아낸다. 그리고 오장환 시에서 내면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그의 `음부 마리아`에서 좀 더 확장해서 나타난다. 물론 `음부 마리아`는 표면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하지만 시인에게 `음부 마리아`는 “이지의 프리즘”(「불길한 노래」)이 되기도 한다. 즉, 음부 마리아는 신분 제도에 의해 결핍과 상실감에 괴로워하던 시인에게 내면의 진실을 깨우쳐 주는 지혜로움의 대상이 된다. 음부 마리아는 신성한 마리아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으로 이는 기독교 신화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이는 시인이 `음부 마리아`를 통해 기독교 정신에 순응하기보다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면을 보여주고자 했다. 결국, 시인에게 `음부 마리아`는 존재의 의미를 성찰하게 해주는 대상이다. `음부 마리아`는 신분제도에 의해 억압받고 결핍과 상실감에 사로잡힌 지친 자아를, 자신을 힘들게 했던 지난날을 “추억”으로, “아름다운 뉘우침”으로 긍정적인 사유할 수 인식하게 만든다. 결국 “피 흐르는 詩人”에게 음부 마리아는 “이지의 프리즘”처럼 구원의 표상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search for a meaning in the distorted images of women, described as a "prostitute" and "pubic Maria" in O Jang-hwan`s poetry.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ystematical studies conducted on the "prostitute" and "pubic Maria" which often appeared in his poetry. The poet O used such distorted images of woman in his poetry, and described them in a worldly manner. Especially through degrading Saint Maria, the poet, a member of Siinburack, represents the extreme sense of depravity. However, one can consider that beyond the simple dichotomy of depravity and sanctity, he may have tried to pursue and reveal more essential aspects of it. First of all, in his poetry, there appeared lots of the senses of lack and loss, which were connected to his class in the status system in society. The sense of loss caused him to wander around a port. The harbor in him was a grotesque place. It shows that, in the grotesque harbor, his foundation of existence was revealed; reflecting his restrictive status. Thus, the sense of being alienated and loss reaches its peak. In order to comfort his loneliness, what he chose was none other than the "prostitute". The prostitute in his poem is a cold yet sad being. However, in her negative image, the poet found the essence of his existence. He ruminated "Old story, old memory" (Wolhaynggucheongok) in the image of the prostitut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arious different objects. We can assume that his seeking for his being was through the image of "prostitute", yet that aspect extended even more through the image of "pubic Maria". The "pubic Maria" apparently carries a more negative image. But, for Mr. O, the "pubic Maria" sometimes transforms to the "prism of sagacity" (Ominous song). In other words, for the poet who suffered the misery of feeling lack and loss under a status class, the image helped him to realize a sense of truth. For Mr. O, the "pubic Maria" is a denial of the existence of Saint Maria, which meant a total denial of the christian myths themselves. Through the negative image of Maria, he attempts to be a "descendant of Cain" (Ominous song), who did not just submit to the christian spirit but who independently accepted it. Finally, the medium "pubic Maria" was an essential object to reflect the meaning of existence. The "pubic Maria" helped to transform the sick self and the past, caught in the emotion of lack and loss under the repression of the caste system, positively into a kind of "memory" and "beautiful repentance". Based on this evidence, for "the poet of oozing blood", the "pubic Maria" was a representation of the saying like the "prism of sagacity".

1. 서 론
2. 그로테스크한 ‘항구’에 나타난 결핍과 상실감
3. ‘매음녀’를 통한 문명 비판과 자아 동일시
4. ‘음부 마리아’에 나타난 구원의 의미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