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95.249
3.135.195.249
close menu
KCI 등재
도래할 `신사회`와 사회변혁의 매개 - 1920년대 전반기 김기진의 사회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Coming `New Communities` and A Media of Social Change - focusing on the Kim Gi-Jin`s social imagin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
소영현 ( So Young-hyun )
국제어문 60권 433-464(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83441

이 논문은 새로운 공동체 구상이라는 관점에서 1920년대 초반 김기진의 산문을 비롯한 소설과 비평문을 1920년대 사상적 국면 위에서 재독함으로써, 김기진의 `프로문학`제창이 실패한 사회주의 실험의 일환이기보다, `생활과 문학`의 역설적 관계론을 통해 이후로 반복적으로 문학사의 주된 논의가 된 `문학과 사회적인 것`의 관계설정의 원형적 문제틀이 되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김기진에 따르면, 1920년대 초반의 `현실/생활`은 빈궁함과 비인간화 현상으로 압축된다. 이 현상은 당대 `문명`에서 연원하는데, 이때 `문명`이란 현 체제를 영속시키는 전통의 잔재와 교육 시스템의 간교함이며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하고 영속시키는 돈의 위력을 의미했다. 말하자면 체제 유지를 위한 교육 시스템을 통해 피지배층을 착취하는 기계-인간이 등장하는 한편, 돈의 위력으로 구현된 현 체제 아래에서 피지배층의 삶은 동물적인 것이 된다는 것이다. 김기진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활과 문학`의 역설적 상관성을 거론하고, 그것의 실현을 위해 감각혁명과 인간성의 변혁을 꾀하고, 이를 통해 인간다움과 일상/생활의 본래성 회복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김기진은 `문명`의 폐해를 비판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감정교육의 통로로서 그리고 사회변화와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가늠자로서의 문학의 기능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감각의 개조와 감정교육을 논의하면서 개별 `개인`의 감정이 다른 개인에게 옮아갈 수 있는 특성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김기진이 공동체를 개별 인간의 집합체로 호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측면은 새로운 공동체 구상이라는 지향과의 상관성 속에서 김기진의 초기 산문과 소설 그리고 비평문에 대한 재평가를 요청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ed to reread the meaning of Kim Gi-Jin`s novels and criticisms and writi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not in the perspective of the failure of the socialism project but in the perspective of imagination of the new communities. Specifically, I tried to show that the meaning of Kim Gi-Jin`s novels and criticisms and writings in terms of the paradoxical relationships of `everyday life and literature`, and that it became prototype problematics of `literature and the social` which has been the main issu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Kim Gi-Jin`s writings, the realities of life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were characterized in poverties and de-humanizations and were caused by corruption of civilization that was exposed the craft of education systems and the power of money. Kim Gi-Jin analysed that there were double-layered existing types under the corruption of civilization: upper class became a mechanic-human oppressed the subjugated class and the life of the lower class was debased in the level of animal life. Kim Gi-Jin tired to find the alternatives of this situations in terms of the paradoxical relationships of `everyday life and literature`, and also suggested to recover the essential nature of the humanity through the sense revolution and humanity change. Kim Gi-Jin emphasized the functions of the literature as the passage of the emotional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criticizing the harmful effect of civilization, and as the criterion for the judge of the social changes. Finally, I argued that Kim Gi-Jin`s concept `community` as the assembly of individuals needs to reevaluate within the perspective of the imagination of the new communities.

1. 서론
2. ‘현대문명’ 비판과 ‘신사회’에의 열망
3. 인간다움의 본래성 탐색과 인간 본성 회복의 요청
4. 결론을 대신하여: ‘생활-문학’의 상관성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