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18.147
13.59.218.147
close menu
KCI 후보
문학교육의 `정전`으로서의 주해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문학교과서의 이청준 소설 수록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egesis as Canon of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Lee Cheong-jun`s novels
문장원 ( Moon Jangwon )
한국어문교육 21권 83-107(25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453749

1990년대 중반 이후, 학습자를 해석의 주체로 정립하기 위해 기존의 `정전`에 대한 비판이 본격화되면서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들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수행되었다. 이에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대중문학 등 다양한 텍스트가 교과서에 실리거나 기존 작품들의 인용 분량이 대폭 축소되기도 했다. 정전에 대한비판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작품 목록`과 함께 정전의 또 다른 한 축을 구성하는 `주해 방식`의 경우는 어떠한지 살필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학교육에서 오랫동안 `정전`의 지위를 누려온 이청준 소설을 중심으로 주해 방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주해 방식으로서의 정전은 여전히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이전보다 텍스트가 더 축소되고 왜곡된 상태에서 일원화된 해석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습자를 `지식의 생산자`로 새롭게 정위하기보다 `이전보다 문학성이 떨어지는 텍스트의 소비자`로 교육시키고 있는 셈이다. 이에 이청준 소설을 한 사례로 새로운 주해방식에 도움이 될 만한 요소를 소설 자체에서 탐색해 보았다. 기존의 정전 비판은 `수단`이 되어야 할 `학생의 흥미`, `교육적 편의성` 등을 그 자체로 텍스트 판단의 기준으로 착각하는 우를 범했다. 원래의 취지는 학생 개개인의 의견을 존중하되, 그 의견이 토론을 거칠 때 타당성이 입증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여기에서 텍스트는 학생들의 성찰의 대상이자 타당성을 입증하는 기준이 된다.

Since the mid-1990s, criticism regarding the existing `canon` has been rais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tudent as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and a reflective review on the works in textbooks has been carried out. Although the criticism seems to have been carried out successfully, it is still necessary to look at the case of `exegesis,` which constitutes another axis of canon along with work lis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hange of exegesis focusing on Lee Cheong-jun`s novels, which has been a long-time `canon` in literar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canon as the exegesis still maintains its status, while the canon as the work list was successfully denied. In this case, I tried to explore the elements that would help the new exegesis in the novel itself. The criticism of the canon has made mistakes, such as `interest of students` and `educational convenience`, which should be `means`, as standard of text judgment itself. Text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object of reflection of the students and the standard of validity.

1. 서론
2. 이청준 소설의 교과서 구현 실태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이청준 소설의 교육적 독법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