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5.180
3.137.185.180
close menu
KCI 등재
이해조 소설과 『금고기관』의 관련 양상 - 「월하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s of Yi Hae-jo and Jinguqiguan - Focusing on “Wolhagain”
김종욱 ( Kim Jonguck )
인문논총 74권 1호 11-33(23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456249

1911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이해조의 「월하가인」은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은 신소설이다. 그동안 이 작품은 1905년에 있었던 한국인들의 멕시코 이민을 다룬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이해조가 멕시코 이민을 소재로 삼은 것은 사회적 관심사를 활용해 대중들의 관심을 끌려는 목적이었다. 이 작품이 연재되던 무렵에 ≪매일신보≫에서는 20세기 최초의 혁명으로 평가받는 멕시코 내전이 자주 기사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해조가 이처럼 당대의 사건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월하가인」에서는 주인공의 이민과 귀국 과정이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갑오농민전쟁의 정당성을 부정하고 식민화의 위기에 처해 있던 대한제국의 정치현실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식민권력과 타협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월하가인」에서 흥미로운 것은 서사의 진행과정이 중국의 백화소설집인 『금고기관』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해조는 초기작에서 전체 서사의 골격을 『금고기관』에서 그대로 차용했지만, 1910년을 거치면서 역사적 사건들을 서사의 전면에 배치하여 『금고기관』의 영향력을 은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당대의 관심을 끌었던 사건들을 다룸으로써 독자들의 호기심에 영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해조의 서사전략은 ≪매일신보≫의 대중화 기획과 깊이 결부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을 해석하는 과정에서도 식민질서를 정당화하는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Published in Maeilshinbo, Yi Hae-jo`s “Wolhagain” is a Sinsoseol that was well received by its readers. This work is seen to have been the first of its kind to deal with the Mexican immigration of Koreans in 1905. The reason why Yi Hae-jo chose the issue of Mexican immigration was to use social interest to draw public attention. At the time that this series was being published, Maeilshinbo often published articles on the Mexican civil war, which was regarded as the first revolution of the 20th century. Since Yi Hae-jo did not intend to reproduce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present day, it is easy to find points in “Wolhagain” where the process of immigration and return by the protagonist does not correspond to historical facts. In addition, it denies the legitimacy of the Peasants` War of 1894 and distorts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Korean Empire, which was faced with the crisis of colonization. What is interesting about “Wolhagain” is that it borrows the narrative of the Chinese Jinguqiguan in order to bring about the readers` response. In the case of Yi Hae-jo`s early works, the whole narrative skeleton was borrowed directly from Jinguqiguan. From around 1910, however, historical events came to be placed at the fore of the narrative, and focus was put on concealing the influence of the Jinguqiguan. On the surface, the intention was to cater to the curiosity of the readers by dealing with the events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time. This narrative strategy of narratives is not only deeply connected with the popularization project of Maeilshinbo but also shows the attitude of justifying the colonial order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historical events.

1. 들어가는 말
2. ‘실지사적’의 허구적 재구성
3. 중국인에 대한 긍정적 묘사와 그 의미
4. 맺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