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5.180
3.137.185.180
close menu
KCI 등재
로컬리티의 재현과 미학적/감성적 공간 - 1910년대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풍경과 감정
Representation of Locality and Aestheticus Space
이지훈 ( Lee Jihun )
인문논총 74권 1호 63-95(33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456269

신소설에서 일상적 세계의 묘사는 근대소설의 핵심적 자질로 논의되어 왔는데, 그것은 주로 계몽성과 관련하여 문명화된 공간이나 야만적인 공간 등 로컬리티를 정치적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1910년대 이후 신소설에서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소설의 주요 배경을 소설의 제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점이다. 이는 신소설이 공간을 인식하고 재현하는 방식이 새롭게 변모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가 가능해진 이유는 당대에 일어났던 새로운 시각의 경험, 시각장의 변화, 풍경의 발견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해조의 경우도 1910년대 이후 『소양정』, 『탄금대』, 『소학령』 등에서 소설의 핵심적 공간을 제목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소설들에서 중요한 것은 서사를 이끌어나가는 핵심적 원리로 공간이 제시되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지닌 정치적 의미나 로컬리티의 재현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주로 명승지나 절경이 소설의 주요 공간으로 제시되면서 미적인 풍경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 풍경을 통해 인물들이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은 주목된다. 감정은 미적인 풍경과 연결되면서 새로운 미학적/감성적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를 통해 1910년대 이후 신소설의 변화를 새롭게 의미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daily world in the Sinsoseol (the New Novel) has been widely discussed as a crucial achievement in contemporary Korean novels. Such a description is mainly composed of representing localities in a political manner. For instance, by drawing `civilized space` or describing `barbaric space`. An important change in relation to space occurred after 1910, which is represented by the frequent usage of the main background as the title of the novel. This signifies a change in the way that space was realized and represented in the Sinsoseol. Such a change was possible due to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experience of new perspectives which took place at the time, the expansion of viewpoints, and the discovery of `landscapes`. In the case of Yi Hae-jo, the core spaces that appear in his novels came to be used as the titles from 1910. These novels include Soyangjung, Tangeumdae, and Sohakryung. The vital point in these novels is that despite the suggestion of the area as the core element in continuing the narrative, the inherent political meaning or representation of the locality came to slowly fade away. Furthermore, as these beautiful spots and areas are being suggested as the main space present in the novels, the aesthetic sceneries come to be discovered, which are actively used by the author to reveal the emotional state of the characters. Such emotion forms a new aesthetic/sentimental space as it becomes connected to the aesthetic sceneries. This spatial transformation allows a new discussion on the change of the Sinsoseol after 1910.

1. 이해조의 ‘연구’와 소설의 ‘재료’
2. 신소설의 로컬리티와 재현의 정치
3. 매혹적인 풍경과 감각적인 시각
4. 감정의 이미지와 미학적/감성적 공간 : 『소양정』, 『탄금대』, 『소학령』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