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118.198
18.116.118.198
close menu
KCI 등재
식물 작용주체와 선사시대 한반도의 순화 과정
Plant Agency and the Domestication of Prehistoric Korea
김민구 ( Kim Minkoo )
인문논총 74권 1호 99-133(35pages)
UCI I410-ECN-0102-2018-000-000456274

농경에 대한 기존의 고고학적 논의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인간을 주체로 식물을 객체로 보았다. 본 논문은 식물 역시 인간이나 다른 동물과 함께 작용주체라는 점을 논한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식물 역시 번식이라는 욕망을 가지고 있고 이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쌀, 밀, 보리는 외래식물이며 선사시대에 한반도에 도래하였다. 이 식물들이 도래한 후에 선사 문화는 급격하게 변화하였는데, 대표적인 변화로 유적의 확장, 공동체 규모의 증대, 유적간 거리의 감소, 강화된 정주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새롭게 도래한 외래식물의 번식이라는 목표를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선사시대 농경 공동체의 형성이란 인문적 변화를 식물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보이고, 선사 농경에 관한 고고학적 논의에서 식물의 물질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Agriculture has been primarily understood from an anthropocentric standpoint with humans being the agents of cultivation and plants the objects of cultivation. This paper regards plants as nonhuman agents in agricultural interaction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perspective by emphasizing that crops had an explicit agenda of making copies of themselves and migrated to new soils using humans as a vehicle for their movement. Rice, wheat, and barley are non-native plants that arrived at the Korean peninsula in prehistory. A number of changes are archaeologically visible since their arrival, such as expansion in site range, increase in community size, shortening of inter-village distances and sedentariness. These changes were immediately beneficial to the reproduction of these crop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development of prehistoric farming communities is better understood when the changes are envisioned from the plant`s viewpoint and when a discussion on plant materiality is brought into the consideration.

1. Introduction
2. Plants, Domesticated and Domesticating
3. Crops in Korean Prehistory: What were they and what did they want?
4. Pyeonggeo-dong: an Overview
5. Plant-altered Landscape
6. Collaboration
7. Seasonality and Mobility
8. Discussion and Conclu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