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84.90
3.17.184.90
close menu
KCI 등재
1950-80년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 체험과 장소 감수성
The study on Foreign Experience and Sensitivity of place in 1950-80` woman`s travel narrative
임정연 ( Lim Jung-youn )
국제어문 61권 47-71(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77421

이 논문은 여성 여행서사에 나타난 이국(異國) 체험과 장소 감수성의 젠더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1950-1980년대 해외여행 모티프 소설에서 젠더 정체성과 장소정체성이 맺는 상호 관련성을 규명한다. 1950년대 여성의 이국체험은 시찰과 견문이라는 공적 목적에 종속된 `교양 여행`의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이국체험은 여성을 일방적으로 `보이는` 대상이 아닌 `보는` 주체의 위치로 이동시켜 한국 사회의 모순과 젠더 불평등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자기와 타자를 응시하는 시선, 즉 시선의 외부성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이국은 여성에게 고정된 젠더 질서와 체계를 역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사유된다. 김말봉은 「바퀴소리」와 『방초탑』에서 서양식 풍요와 동양식 미덕, 우월한 남성과 열등한 여성이라는 지리적, 젠더적 이항대립 관계를 역전시키고 재배치(repositioning)하려는 시도를 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한 해외여행이 가능해진 1970년대 이후 여성 여행서사에는 소속과 정체성을 숨기고 자유롭게 거리를 활보하는 여성 산책자가 등장한다. 송원희, 정연희, 손소희 등은 자유로운 감수성으로 유럽 도시에 대한 대중적 표상을 해체하고 자신의 감각으로 재구성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장소에 대한 기억을 거부하거나 소속을 은폐하고 불투명하게 만드는 여성 인물을 통해 모든 장소를 무질서하고 불안정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공간으로 재현한다. 이렇게 여성 여행서사는 모국과 이국에 대한 이중적인 비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탈장소성과 무국적성이라는 젠더적 글쓰기에 대한 지향성을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female gender`s attributes of different country experience and place sensitivity seen in female trip narratives since in 1950s. Female trip narratives reveals the process that the ethnic identity and the gender identity make the mutual relationship and seek for a new identity. In Korea, an overseas trip was a privilege experience until 1980s. Especially, in 1950s-60s,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uppermost elite women went for foreign countries for formal purposes of facility inspection or visit. Like a novel written by Mal-Bong, Kim, Korean female trip narratives considered that the U.S.A was the hybrid place mixing American-style civilization and oriental values at that time. Like that, in the trip narratives, the U.S.A was reproduced as a place of possibility to shake the fixed genders order. In 1970-80s, female writers made their European trips through their private channels, and narrated their trip experiences. In the female trip narratives, a place was not expressed as a fixed symbol or image. Rather, the meaning of each city was restructured from the sensitivity aspect. That is, in female trip narratives, each place has some heterotopia characteristic. In the place, a woman tourist hides, refuses her identity and pursue a no-nationality life. Like that, a trip become a chance to dismantle and subvert the relationships among ethnic groups, races and genders.

1. 여성의 여행과 여행서사의 젠더성
2. 교양여행, 시선의 외부성과 젠더구도의 재배치
3. 산책과 만유(漫遊), 대중적 표상의 감각적 해체
4.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