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200.66
3.138.200.66
close menu
KCI 등재
이무영의 장편소설 『농민』 3부작 연구
The Study on Lee, Moo-Young`s 1950`s Novel “Nongmin(Peasant)” Trilogy
조정래 ( Cho Jung-lae )
국제어문 61권 183-208(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77476

이 논문은 1950년대 초기에 나타난 이무영의 장편소설 『농민』 3부작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농민의 삶이 시대적 관심의 중심에 자리 잡기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에 몇 편의 주목할 만한 농민소설이 대하 역사소설의 형태로 나타난 현상에 대한 관심의 하나로 『농민』 3부작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의 중요한 화두가 민족문학의 새로운 건설이었다면, 결과적으로 『농민』 3부작 기획은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의 하나로 보인다. 1950년대에 역사농민소설이 등장한 것은 민족문학의 길에 대한 탐색 과정과 관련을 갖는다. 새로운 민족문학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는 전통과 역사의 문제가 가장 먼저 대두된 화두였다. 식민지 시대에 농민의 삶을 문제 삼았던 작가들은 민족의 특질을 가장 잘 그려낼 수 있는 것이 전통적 농민상을 재현하는 것이고, 그 농민의식의 민중성과 도덕성을 통해 민족문학의 입지를 튼튼히 건설할 수 있다고 믿었다. 영웅적 농민상을 통하여 대하 역사소설을 창작하는 그 의도에는 농민이 민중의 중심이고 농민의식이 민족전통의 근원이라는 신념이 내재되어 있다. 이무영의 『농민』 3부작은 그런 의미에서 중요한 성과로 보인다. 동학, 의병, 삼일운동에 이르기까지 역사의 중요한 국면을 배경으로 삼아 영웅적 농민의 저항과 투쟁을 그리는 일은 우리 민족문학을 새롭게 정립하는 마당에서 꼭 필요한 노력이었다. 다만 그 내용은 과거에 대한 향수나 당위적인 농민중심주의에 그쳐서는 안 되고, 이후 민족문학이 나아갈 길에 대한 전망 찾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향이어야 했다. 그러나 이 작품이 그러한 서사의 역사적 충동으로 출발하였음에도 시대가 요청하는 역사적 전망을 찾는 데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작가가 전통적 농민상의 창조라는 주제 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2. 동학, 의병, 3·1운동 등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서 역사의 의미와 농민의 삶을 내밀하게 연결시키지 못하였다. 3. 개인의 삶에 집착함으로써 개인과 역사를 이분법적으로 다뤘다. 4. 반봉건주의적 관점에서 기존의 창작 방법을 답습함으로써 3·1 운동이 지닌 민족의 문제에 대한 시각은 얻지 못하였다. 그런 구조적 문제들이 있지만, 중요한 근대사의 틀에서 농민이 어떻게 대처했고, 농촌의 세계가 어떤 환경에 놓여있었는지를 긴 역사적 맥락으로 묘사한 점은, 이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하게 하는 요소이다.

This study is on Lee, Moo-Young`s “Nongmin(Peasant)” trilogy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of 1950`s. This Study notice to 1950`s Peasant novel`s tendency to Historical novel. This study aim to analyze Lee, Moo-Young`s 1950`s Novel “Nongmin(Peasant)” Trilogy and consider about what means that tendency. If the topic subject of conversation of 1950`s was new construction of national literature, “Nongmin(Peasant)” Trilogy would be response in demand National literature. But “Nongmin(Peasant)” Trilogy could not establish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ough writing historical instigation. This study research the reason as follows. 1. Author Lee could not get rid of his obsession over making imagination traditional peasant shape. 2. That novel`s subject matter is important historical events `Donghak`,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but can`t making composition organic integration historical meaning and peasant`s life. 3. So that novels separate individual with History. 4. That novels can`t secure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perspective with imitating existing writing method. But the points that novels describe minutely peasant`s world and life with historical context, admit “Nongmin(Peasant)” Trilogy getting historical value of Literature.

1. 『농민』 3부작과 이무영
2. 이무영 농민소설의 역사성과 민족문학
3. 반복형 회귀 구조와 전망
4. 농민의 역사, 역사 속의 농민
5. 민족이냐 농민이냐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