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23.176
3.143.23.176
close menu
KCI 등재
타고르 시의 한국어 번역의 문제 - 「동방의 등불」, 「쫓긴 이의 노래」, 「기탄잘리 35」를 중심으로 -
The Confusion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 Focused on “The Lamp of the East,” “The Song of the Defeated,” and “Gitanjali 35” -
홍은택 ( Hong Euntaek )
국제어문 62권 265-293(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72148

이 연구는 식민치하의 조선인들을 열광케 했던 타고르의 시 「동방의 등불」과 타고르가 최초로 우리 민족에게 보낸 시라고 알려진 「쫓긴 이의 노래」를 둘러싼 문제점들을 되짚어보고 두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분석해보고자 하는 글이다. 또한 1929년 동아일보에 「동방의 등불」이 게재된 이후, 이 시에 덧붙여 한 편의 시인 것처럼 짜깁기 되었던 「기탄잘리 35」의 번역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용과정 및 짜깁기의 출처에 대해 더 깊이 살펴보고, 나아가 작품 자체의 내용 및 의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간의 연구 성과들을 근간으로 세 작품에 대한 작품 외적인 논쟁을 상세히 파헤쳐 검증했고 번역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작품 자체에 대한 연구로 방향전환을 시도했다. 그 결과의 하나로서, 2003년 교육부 검정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기까지 한 「동방의 등불」짜깁기본의 시작과 출처가 1977년에 출판된 『세계명시선-그 이해와 감상』일 가능성을 밝혀냈다.

This study examines deeply Tagore`s poems, “The Lamp of the East” which aroused Korean people to enthusia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Song of the Defeated” which was known as the first poem from Tagore to Korean people, and analyzes new meanings of the two poems. And the study compares the translated versions of “Gitanjali 35,” which was put “The Lamp of the East” together in one poem after that poem appeared in Dong-A Ilbo in 1929, and also searches for the receptive process and the source of the combined version. As a result, it tries to set up the foundation of the study about contents and meaning of his poems themselves. Based on the outcomes from the existing stud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ntroversial questions of the three poems in detail and changes the study on their external phases into that on internal ones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ng their translated versions. In consequence, it draws the potential conclusion that the source of the combined version of “The Lamp of the East” would be The Anthology of Selected World Poem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e conclusion needs to be verified minutely by its follow-up study.

1. 머리말
2. 「동방의 등불」의 수용과 왜곡
3. 「쫓긴 이의 노래」와 ‘등불’의 의미
4. 「기탄잘리 35」의 번역과 비교 분석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