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66.98
18.118.166.98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Phonemic Discrimination of Korean by native Chinese speakers
김태경 ( Kim Tae-kyung )
국제어문 62권 405-425(2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72188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지각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8명(초급 14명, 중급 14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청취 실험을 실시하고 한국어 음소에 대한 변별적 지각의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종성 파열음의 조음 위치 변별에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개음과 양순음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초성 자음의 경우에는 평음, 경음, 격음을 특히 잘 구별하지 못하였고, 어두 위치에서는 평음을 격음과 혼동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을 경음과 혼동하는 사례가 많았다. 중첩자음과 단자음의 변별 청취 실험에서는 어중 비음이 중첩될 때 단자음으로 잘못 지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유음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단자음을 중첩자음으로 잘못 지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음에서는 /ㅗ/와 /ㅜ/를 서로 혼동하는 양상이 두드러졌고, /ㅓ/를 원순모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피험자의 한국어 숙달도 수준에 따라 변별 지각 정답률을 살펴보면, 초성 자음에 대해서는 중급 집단이 초급 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러나 종성 자음이나 모음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모어의 음소 체계가 제2언어의 음소 변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언어 음소 범주를 정확히 지각하는 비율은 개별 음소의 음운 자질이나 음운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ative Chinese speakers` perception pattern of Korean phonemes. I performed listening experiment on 28 Korean-learning Chinese, consisting of 14 beginner and 14 intermediate-level learners, and analyzed the relative difficulty of each phoneme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lace feature of word-final stop consonants was the most difficult for the Chinese speakers to perceive. In particular, velars and bilabials tended to be confused in word-final position. Lenis consonants were frequently confused with aspirated and fortis, in word-initial and word-medial respectively. Many subjects recognized overlapping word-medial nasals as a single consonant, and a single liquid consonant as geminate. Among vowels, they frequently confused /o/ and /u/, and recognized /Λ/ as round vowels. The intermediate-level leaners showed better discrimination among word-initial consonants than the beginner-level group did. However, in case of word-final consonants and vowels,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onemic categories of L1(first language) usually exerts a continuous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L2(second language) consonants and vowels.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