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104.248
3.147.104.248
close menu
KCI 등재
소설, 연극, 그리고 영화의 매체 간 서사 재현 양상 연구 ―이청준의 「조만득씨」· 연극 <배꼽춤을 추는 허수아비> · 영화 <나는 행복합니다>를 중심으로.
Study For Novel, Play, and Movie Between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Aspects
박상익 ( Park Sang-ik )
국제어문 55권 43-74(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08567

이 연구는 이청준의 소설 「조만득씨」를 원작으로 제작된 연극과 영화에서 스토리를 표현하기 위해 특화된 매체 표현 양식을 해명해보고자 한다. 이청준의 「조만득씨」에서는 직접 화법으로 처리되어 자신의 목소리를 가지는 인물인 민 박사와는 달리 윤 간호사의 진술을 자유간접화법으로 처리하여, 텍스트를 읽는 독자들이 윤간호사의 진술에 감정이 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윤 간호사가 자신의 주장을 직접적으로 내세우는 민 박사와는 다른, 소수자의 입장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 소설에서 이장의 이야기가 `액자형 구조`로 나타나는데, 이는 서술자, 이장, 그리고 윤 간호사가 동일한 입장에서 조만득을 옹호하는 듯한 효과를 창출해낸다. 비극적인 문제적 현실보다는 차라리 광기가 행복할 수 있다는 성찰과 그것을 효율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소설 텍스트를 지배하는 서술자의 권위를 교란 시키는 다른 등장인물들의 언술이 개입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연극 <배꼽춤을 추는 허수아비>에서는 전통 문화와 서구 문화의 충돌, 새로운 것과 옛 것의 갈등은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적 이미지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당대의 혼란스러운 자본주의 문화와 관련시키고 있다. 또한 이 연극은 “극중극” 형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현실에서 정신병 치료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사이코드라마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이 서사구조는 연극의 주제가 치료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증거한다. 그러한 현실을 보여주는 이 연극의 서사 구조는 `현실`을 곱씹어 분석할 것을 관객과 소통하는 서사전략을 사용한다. 영화 <나는 행복합니다>에서 카메라의 위치는 두 인물의 사회적인 역할을 외부초점화의 방법으로 객관화하며 제시하지만, 실제로는 두 인물이 외부를 바라보는 시선, 즉 주관적인 시점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는 영화에서 자주 사용된 몽타주 기법과도 연결된다. 몽타주 기법으로 인해 관객들은 조만수의 플롯에 병렬적으로 배치된 수경의 플롯을 이중 플롯 구조로 인식하여, 보다 복합적이고 풍부한 의미효과로 받아들이게 되어 영화의 의미는 한층 깊어지게 된다. 「조만득씨」 · <배꼽춤을 추는 허수아비> · <나는 행복합니다>는 조만득(혹은 조만수)가 지닌 광기의 문제를 중요한 소재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공히 그의 광기가 단지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문제일 수도 있음을 묘사한다. 하지만 각 작품이 주된 표현 방식으로 삼고 있는 자유간접화법 · 액자형 구조, 극중극, 몽타주 기법에 따라 각 작품이 전달하는 이야기 내용과 메시지는 차이를 보인다. <나는 행복합니다>의 또 하나의 주인공인 수경은 「조만득씨」의 윤 간호사와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영화의 서사 구조는 몽타주 기법을 극중극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배꼽춤을 추는 허수아비>의 서사 구조와 유사하다. 요컨대 이청준 소설을 원작으로 한 소설 · 연극 · 영화의 매체 간 서사 재현은 광기를 치료하는 유효한 방식인 이야기 속의 이야기 형태를 활용하여 서사를 구성하여, 각각의 작품을 소비하는 수용자가 기대하는 원작과의 연관성과 서사 전달력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사 전략인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specific media forms of expression that play and movie based on Lee Cheong-jun`s novel “Mr. JoManDuk”. Lee Cheong-jun`s novel “Mr. JoManDuk” is the characters` statements are expressed using the free indirect discourse. These expression could accept emotional state of nurse(Miss Yoon). Because of they didn`t show madness but a tragic reality. JoManDuk chose madness from reality. On the other hand, “Belly Dancing Scarecrow”, play based on novel, had used visual and sound effect. This was confusing that cultures in 1990`s were associated with capitalism. The play also used “play within a play” form. This narrarive form was shared thought about the reality with the audience. The movie “I`m happy” based on novel and play. Camera in this movie have objectified social roles between two characters. It have associated with montage technique. In short, narrative contents which based on Lee Cheong-jun`s novel “Mr. JoManDuk” were composed of “play within a play” form. The audience should be satisfied his expect that was relevance of the original text. Also, narrative could make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