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74.54
3.145.74.54
close menu
KCI 등재
중앙아시아 고려인 희곡에 나타난 정체성과 언어의 특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and Language in the Dramas of the Korean in the Soviet Central Asia
박명진 ( Park Myeong-jin )
국제어문 55권 481-520(40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98691

이 논문에서는 스탈린의 소수민족 정책에 따른 1937년 강제 이주된 중앙아시아 고려인 희곡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외부적 강압에 의해 자신의 고향으로부터 낯선 곳으로 쫓겨간 고려인에게 있어 중앙아시아 지역은 제2의 고향이 되어야 했다. 참혹할 정도의 강제 이주 정책에 대한 고려인들의 침묵은 스탈린 사후에 와서야 가능해졌다. 이 논문은 고려인의 정체성을 난민, 조에(Zoe) 등으로 규정함으로써 공민(公民)과 수인(囚人) 사이의 묘한 사회적 위치에 존재함을 주목했다. 거주 이전의 자유 박탈, 정치 세계에 동참하는 것에 대한 원천적인 봉쇄 등 때문에 고려인들은 민족 주체성을 망각하고 러시아인에 동화되기 위해 노력해야만 했다. 이때 『레닌기치』와 `고려극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진다. 특히 `고려극장`은 순회공연을 통해 중앙아시아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콜호스(kolkhoz)의 고려인들과 만남을 시도함으로써 민족 정체성의 확인 및 공유를 추구했다. 물론 스탈린 치하에서는 오로지 소비에트 정책을 찬양하는 목적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스탈린 사후부터는 모국어, 관용적 표현, 전통문화에 관련된 어휘 및 표현들을 통해 민족정체성을 재구성하는 데에 열정적이었다. 그러나 고려인 희곡은 현대로 올수록 고부간의 갈등, 세대 간의 갈등, 황금만능주의에 빠진 이들과 콜호스에서의 노동의 가치를 신봉하는 자들 사이의 갈등으로 세부화된다. 이때 중앙아시아는 고려인 1세대에게 있어서는 또 하나의 고향이었고, 돈을 벌 수 있는 도시 공간은 젊은 세대들에게는 기회의 땅이었다. 이때 고려인 1세대 극작가들의 눈에 비친갈등이란, 제1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연해주와의 단절,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주1세대와 모국어 사용이 불가능한 이주2세대 사이의 언어 단절, 돈의 가치를 최고로 여기는 젊은 세대와 콜호스에서의 집단 노동의 가치를 신봉하고 있는 기성세대와의 문화 갈등을 가리킨다. 고려인 희곡은 물질주의에 유혹 당했거나 도시로 이주하려는 젊은 세대에 대해 비판적이다. 대신에 고려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해 줄 수 있는 모국어 사용, 전통 문화의 적극적인 인용을 전면화해야 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가 황금만능주의에 물들었고, 이들이 자신들이 태어나고 자란 고장을 떠나 큰 도시로 떠나려고 하는 것은, 이주 1세대가 중앙아시아로 이주되어 온 뒤 사회적 신분 상승을 위해 자식들을 도시에 있는 러시아어 사용상급학교로 진학시킨 것의 결과였다. 고려인 문학은 고려인들의 민족적 전통 계승, 즉 모국어와 의식주와 관련된 민족 전통 문화의 계승을 테마로 설정해 놓지만, 이 작업은 1937년 이후 자발적으로 모국어를 외면해온 시절, 스탈린 체제를 앞 다투어 찬양하던 행적 등에 대한 망각을 통해 재구성되기도 했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s by Korean dramatist in the Soviet Central Asia. The Korean in the Soviet Far East had to be compelled to migrate to the Soviet Central Asia in 1937 under the Stalin regime. This paper focuses on what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and language are in the dramas of the Koreans in the Soviet Central Asia. Since the Korean, scattered into Kazakhstan or Uzbekistan, cannot but abandon his mother tongue, and adopts Russian as his official language. The dramas and plays are important means for the Korean in the Soviet Central Asia to preserve his own language. A way of preserving the language, the Korean dramatists in the Soviet Central Asia tour the kolkhoz with their works. Touring the kolkhoz, they promote to restructure the mem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heir effort is very effective and touching. As a result, they newly reconstruct a national narration on the basis of their memory. Because of their `naked being`, the Korean dramatists in the Soviet Central Asia are regarded as `zoe`, `homo sacer`, or `refugee`. They are persons dispossessed and damned by the Stalin regime. Thus their works can be estimated as the most valuable ones in the Korean literature of the Soviet Central Asia.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ramas are as follow. First, we can establish the identity of `metoikos`. referring to an alien, a cipher, and a meaningless being in the early ancient Greeks. Second, it is shown that in their works, the dramatists do their endeavor to memory their mother tongue and the ethnic identities. Last but not least, their dramas show the consciousness of crisis on the generation gap. Because the second- and third-generation could not learn Korean, the communications between the first-generation, and second- and third generation is interrup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