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194
3.14.6.194
close menu
KCI 등재
김수영과 월트 휘트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오영진 ( Oh Young-jin )
국제어문 58권 487-532(4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193045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설로만 제기되었던 김수영 문학과 월트 휘트먼 문학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몇 가지 신빙성 있는 단서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시도가 없었던 이유는 양 시인의 작품 세계가 선명히 다르기 때문이다. 휘트먼은 풍요로운 미국의 자연풍경을 찬미하고, 시민들을 향해 사랑과 자유를 노래한 외향적인 시인인 반면, 김수영은 설움과 고독을 주된 정조로 주로 자신의 일상을 정직하게 반성하는 시를 주로 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수영이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장하며 실천해온 `자유`나 `육체성`에 대한 강조, 보편세계를 지향하는 `사랑`이라는 주제의식에서는 휘트먼의 영향이 분명히 감지된다. 증언에 의하면 김수영은 그가 읽은 독서목록의 작가들을 최대한 자신의 방식으로 소화하려고 노력한 작가이다. 때문에 김수영은 휘트먼적 주제를 자신의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소화했다고 볼 수가 있다. 본고는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 문학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이 끼친 영향과 그 변용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통상 휘트먼 문학의 특징이라고 정리된 몇 가지 주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을 읽어본다. 첫째,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의 설정문제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에 끼쳤을 월트 휘트먼의 영향력을 추리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쟁점들은 `너무 헐렁한 양복`이어서 누구나 맞춰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을 보였다고 본다. 하지만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개성으로 이 두 요소가 김수영 문학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둘째, 분명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주로 자연찬미나 이웃에 대한 사랑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월트 휘트먼에 비해 김수영은 고독이나 설움 같은 현대적인 주제에 열중한 면이 있었다. 반면, `사랑`이라는 주제가 수평적인 이미 저리로 펼쳐지는 양상에서는 양자 간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카탈로그 식 열거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리듬이나 수사적 효과를 위해 도입된 것이 아닌 `사랑`이라는 내용이 형식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수영의 경우도 「사랑의 변주곡」이나 「풀의 영상」, 「거대한 뿌리」 등의 비교적 후기의 걸작들이 이와 비슷한 수법과 주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양자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추적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김수영이 월트 휘트먼적이라고 평가하는 데에는 모자람이 없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on literature, which has been strongly hypothesized. Despite of some reliable clue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ttempts to make this clear because their works seem to be different distinctly each other. As Whitman was an extroverted poet who glorified rich scenery of nature in America and sang love and freedom, Kim Su-young wrote poems which reflected everyday honestly, filled with sorrow and solitude. Kim Su-young, however, had constantly empathized and practiced `freedom` and `corporeity` from earlier works and an inquiry into the universality of `love`, which exactly showed an influence of Whitman to him. Some evidences show that Kim Su-young sought to absorb the authors he read. And Whitman was also possibly absorbed into Kim Su-young`s works, modified with the times and conditions in his unique way. This paper plans to examine influence of Whitman and modified aspect to Kim Su-young`s works as read works of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together. For that, this paper reads Kim Su-young through Whitman`s thought. Firstly, I payed attention to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the first person narrative-that is a saint persona and on corporeity. Each point seems like "loose clothing" so it looks like every answers possible though, it is worth underlying both first person narrative(a saint persona) and corporeity which were the unique aspect of Whitman present in Kim Su-young`s work at the same time. Secondly, I attempt to reveal apparent similarity and distinction. Comparing with Walt Whitman`s work which mainly expressed admiration to the nature and love-thy-neighbour actively, Kim Su-young`s works focused on the modern problems like solitude and sorrow. However, the way of expressing `love`, which is the main theme and is presented horizontal imagery, is apparently similar to each other. Catalog technic is a unique style of Whitman, and it is not simply for a rhythm or rhetorical effect but for an embodiment of `love`. In case of Kim Su-young`s late works, `Sarang-eh Byen-ju-gok`(Love Variation), `Pul-eh Young-sang` (Image of Grass), `Geo-dae-han Puri`(Great root), also show an identical technic and theme. This paper has limitations to look deep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empirically. B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from Whitman to Kim Su-young would come up in the conclu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