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61.222
3.137.161.222
close menu
KCI 등재
일연(一然)과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독해
A postcolonial reading of Ilyeon and his Samgukyusa
허원기 ( Heo Weon-gi )
국제어문 54권 181-207(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04190

본 연구에서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일연과 그의 시대, 그리고 선불교와 삼국유사를 검토해 보았다. 일연은 생애의 대부분을 몽고 제국의 침략과 압제를 당하던 시기에 살다가 갔다. 그의 시대는 제국의 지배와 그에 대한 종속이 강요되던 시대였음으로 탈식민의 의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던 시대였다. 일연은 선불교의 사제로서 『중편조동오위』의 정편(正偏) 회호(回互)론을 통해 이항대립적 위계질서를 타파하고 제국과 식민지의 지배와 종속 구조를 탈피할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삼국유사』 속에서 일연의 탈식민주의적 경향은 세 가지 방향으로 나타난다. 첫째, 제국에 저항하기 위한 방편으로 우리나라를 `동방의 불국토[東竺]`로 부각시켰다. 둘째, 국제 관계를 다룬 이야기들을 다수 제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군사의 제국인 몽고, 종교의 제국인 인도, 문명의 제국인 중국과의 관계를 다양하게 다루었다. 그리고 그는 세 제국의 유형적 권력을 해체하면서 우리나라의 독립적인 위상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셋째, 탈식민주의적 삶의 방식으로 이류중행(異類中行)하는 삶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examined Ilyeon(一然) and his era and Zen Buddhism and the Samguk Yusa(三國遺事) by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Ilyeon, most of his life, lived under the aggression and oppression of the Mongol Empire. In his era, Imperial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have been imposed. Therefore, Postcolonial thinking occurred naturally. As a Zen Buddhist priest, Ilyeon discussed the Hoeho(回互) of Jeongpyeon(正偏) in Jungpyeonjodongohwi(重編曺洞五位). It was breaking the hierarchy of binary opposition and it became the foundation of postcolonial thinking. In Samgukyusa, the postcolonial idea patterns of Ilyeon appeared by three type. First, as a way to resist the empire, he has emerged his country as `East lndia(東竺)`. Second, he was dealing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in not a few stories of Samgukyusa. In particular, he noted to relationship with Mongol-empire of military-, India-empire of religion-, and China-empire of civilization. And, he dismantled the imperial power of three types, contradistinctively this, he was trying to highlight Korea`s independent status. Third, as a way of the postcolonial life style, he proposed a life of Yiryujunghaeng(異類中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