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0.29
3.145.60.29
close menu
KCI 등재
근대계몽기 몽유록의 양식적 변이상과 갱신의 두 시선
Transformation Aspects of Mongyoorok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and Meaning of Two Visions
김찬기 ( Kim Chan-ki )
국제어문 39권 315-341(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73202

그동안의 근대계몽기 서사에 대한 연구는 단형 서사물과 신소설, 그리고 역사전기물에 집중되어 있었다. 문제는, 이들 세 서사물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와 상당수 축적되면서 한국 근대 서사의 기원을 새롭게 탐색하는 의미있는 성과들이 제출되는 가운데, 이 시기에 들어와 다시 호명된 몽유록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 착안하여 이 시기 몽유록의 인물 형상, 그리고 그 구성적 특질과 이데올로기를 전대 몽유록과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이 시기 몽유록은 무엇보다도 그 몽유자 형상에서 전대와 변별되고 있었다. 전대 몽유록의 몽유자 형상이 대체로 `질문-대답`의 문답 구조 안에서 몽유자가 상대(역사적 인물)에게 의존하여 `깨달음을 얻는 몽유자` 형상이었다면, 근대계몽기 몽유록에서는 상대에게 자기의 `생각을 관철시키려는 몽유자` 형상과 `스스로 깨닫는 몽유자` 형상 등이 출현하고 있었다. 또한 이 시기 몽유록에서는 전대의 유가 이데올로기가 오히려 비판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바로 이 점에서 근대계몽기 몽유록의 갱신의 시선이 주목되는바, 그 하나가 `상무론`을 호명하여 `낡은 것으로서의 유가주의`를 비판하는 것에 있었다면, 다른 한 시선은 `마음론`을 통하여 `노예주의`를 극복해내는 것이었다. 결국 이 시기 몽유록은, 전대와 다른 몽유자 형상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구성 원리를 창출해내면서 동시에 새로운 이념형을 탐색하려던 계몽 서사의 최상 기호였던 셈이었다.

The study on narrative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for the meantime has focused on simple-type narrative, Shinsoseol and historical biography. The problem lies in that there is no inquiry into Mongyoorok (夢遊錄) while the recent study shows new prospect exploring the origin of modern narrative as it is considerably accumulated.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ways of depicting mongyooja(夢遊者), its compositional speciality and ideology of Mongyoorok at this time aiming at this sense of problem, and explored them in reference to former age Mongyoorok. Mongyoorok at this time was discriminated at the ways of depicting mongyooja(夢遊者). The ways of depicting mongyooja of former age took on that of `awakend mongyooja` relying on the other in the question and answer structure as a whole, while at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Mongyoorok, the ways of depicting mongyooja of `carrying through its thought` and `perceiving for itself` emerged. Also at this time Mongyoorok, the Confucian ideology of former age falls to the subject of criticism. This aspect attracts the new vision of Mongyoorok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one of which was naming `theory of praising the military` and criticizing `Confucianism as old`, and another vision was to overcome `slavery` through `theory of mind`. In the end, Mongyoorok at this age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preference of enlightenment narrative exploring new type of ideology creating compositional principle to make possible different ways of depicting mongyooja from that at the former ag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