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3.154
3.15.3.154
close menu
KCI 등재
권력의 공포와 모성 이데올로기의 붕괴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를 중심으로
Horror of Power and Collapse of Maternal Ideology
박진 ( Park Jin )
국제어문 39권 343-366(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73217

이 논문에서는 최근 한국 공포영화 가운데 <분신사바>, <신데렐라>, <령>, <여고괴담4: 목소리>에 나타난 권력의 양상과 모성의 형상을 검토해본다. 이 네 편의 공포영화는 모두 여고생들을 주요 등장인물로 하여 친구 관계와 모녀 관계를 통해 권력의 문제를 이야기한다. 특히 모성을 형상화하는 이 영화들 각각의 관점은 가부장제와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을 대변해준다. <분신사바>는 `피억압자-약자-원귀(寃鬼)`의 상투적인 공식에 따라 권력관계를 평면적으로 그려낸다. 또한 딸에 대한 엄마의 지배를 모성애로 미화하고 생물학적인 모성의 의미를 신비화하는 등, 체제 순응적인 모성 이데올로기를 표방한다. <신데렐라>는 모성애에 내포된 권력의 성격과 그 나르시시즘적 속성을 폭로함으로써 모성의 신화를 탈신비화한다. 그러나 혈연주의적 배타성의 한계 속에서 보수적인 가족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기도 한다. 한편 <령>에서는 상호 공포 관계로서의 권력의 본질과 권력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형상화된다. 특히 모녀 사이의 몸 쟁탈전을 통해 가족을 권력 투쟁의 장소로 그려내는 이 영화의 관점은 주목할 만하다. <목소리>에는 애착 관계와 지배 관계의 밀접한 연관성과 끝까지 `살아남고자` 하는 권력의 끈질긴 욕망이 묘파되어 있다. 반면에 전도된 모녀 관계와 사랑이 결핍된 가족 관계를 불길한 공포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는 가족 이데올로기를 재소환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처럼 공포영화는 누가 귀신이 되는가, 가해자와 피해자는 어떤 관계인가, 그들 사이의 권력 관계는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모성이나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은 어떠한가 등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각기 다른 입장을 드러낸다. 공포영화의 서사적 의의는 미학적 가치나 카니발적인 효용성 이외에도 이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관점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차이들에 주목하면서 공포영화에 내재한 전복의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찾아내는 독법은 사회문화적인 텍스트로서의 대중 서사물이 지닌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aspects of power and image of maternity in four recently released Korean horror movies namely < Bunshinsaba >, < Cinderella >, < Dead Friend >, 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These four movies center on high school girls and weave tales about their relations with their friends or mother thereby presenting the problem of power. In particular, each of these movies depicts maternit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in turn show different viewpoints on patriarch and family ideology. < Bunshinsaba > in accordance with a cliche formula of `the oppressed - the weak - the vindictive spirit` depicts simple aspect of power. In addition, it masks mother`s dominance over daughter in the name of maternity and mystifies the meaning of biological maternity thereby advocating maternal ideology that conforms to the establishment. < Cinderella > discloses the aspect of power hidden in maternity and its narcissist side thereby de-mystifying the myth of maternity. Though limited by the exclusiveness of blood ties, the film reveals the conservative family ideology. Meanwhile, < Dead Friend > effectively depicts the essence of power as an element of correlation with horror and the complex mechanism of power. In particular, the fight over a body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noteworthy in that it interprets family as a venue of power struggle. On one hand, < Whispering Corridors 4: Voice > dissects the close relations between love and dominance and the desire of power to `survive`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it recalls family ideology in that it links reversed relation between mother and daughter with lack of love in a family. Thus, each horror movie shows a different perspective of the dominating ideology by presenting its version of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o becomes the ghost in a horror movie?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aggressor and the victim? How is power depicted in their relation? What is the view of maternity and family? The narrative significance of horror movies lies within aesthetic value and carnival-like effectiveness but this narrative significance can also change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Active reading looking for subversive power that lies in horror movies takes on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s the possibility of popular narrative as a socio-cultural 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