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24.209
18.227.24.209
close menu
KCI 후보
경북 청도 지역의 장(醬) 명칭 연구
A Study on the Names of Traditional Sauces and Pastes in the Cheongdo Region of Gyeongbuk Province
김지숙 ( Kim Ji Suk )
영주어문 35권 123-152(30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447850

경북 청도 지역의 장 관련 음식 생활어를 살펴보기 위해 청도군 이서면, 풍각면, 운문면의 지역민을 그 대상으로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 명칭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도 자연스럽게 채록할 수 있었고, 장을 담그고 보존하는 행위와 그에 따른 금기 사항도 살펴볼 수 있었다. 청도군은 상위 범주인 `장`을 중심으로 `딘장`과 `지릉장, 지렁`으로 된장과 간장을 구분하였고, 이러한 장 명칭은 시기, 방법, 맛, 기타 사항을 중심으로 `올장, 막장, 단장, 딩기장` 등으로 분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장을 뜨고 담그는 시기와 관련된 금기, 장의 상태 변화와 장맛에 관한 관용 표현을 통해 이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의 지혜와 감각적인 언어 사용을 엿볼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women in Iseo-myeon, Punggak-myeon, and Unmun-myeon to investigate culinary terms specific totraditional sauces and pastes used in the Cheongdo region of Gyeongbuk Province. In addition to cataloguing the names of sauces and pastes, the study also involved documenting idiom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ractice of making and preserving these sauces and pastes, as well as taboos associated with the sepractices. The top sauce and paste categories included soy sauce and bean paste, which have following names: jireungjang and jireong for soy sauce, and dingjang for bean paste. The names were further partitioned into specific categori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periods, methods, and tastes, among other properties, such as oljang, makjang, danjang, and dinggijang. Many taboos were associated with the period during which a particular sauce or paste manifested, and idioms regarding the changes in the form and taste of a sauce or paste were indicative of the wisdom and savvy language used by women in the region

1. 청도 지역의 장
2. 연구 방법 및 선행 연구
3. 장 명칭의 분화 양상
4. 장 관련 관용 표현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