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9.141
3.144.9.141
close menu
KCI 후보
< 동상기(東床記) >에 나타난 혼례의 일상
Ordinary wedding shown in < Dongsang-ki(東床記) >
강문종 ( Kang Moon Jong )
영주어문 35권 177-203(27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447870

< 동상기 >는 당대 일상적인 공간과 인문적 환경 속에서 가장 평평한 남녀 한쌍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였으며, 18세기 말 남녀 혼인 적령기가 16세 정도이며 20대 중반과 20세 전후부터 각 각 노총각과 노처녀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은 화려한 혼인식이 부유층의 과시적 소비의 대표적인 사례라는 사실과 `친영례가 행해질 때 필요한 각종 물품들`, `신랑 · 신부의 복식`, `신방물품`, `혼례음식` 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18세기 말에 무반의 차별이 가장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과 혼인과 과거응시에 가장 큰 장애물이 바로 경제적 빈곤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뭄에 단비`, `타양에서 친구 만나기`, `어린 나이에 과거급제` 등이 일상에서 소소하게 느끼는 즐거움이며, `혼인 첫날밤`이 가장 기쁜 일 중에 하나라는 평범한 사실도 확인하였다. 귀신과 도깨비와 같은 신이한 존재가 자신을 도와주는 헛된 상상 등을 포함하여 보통사람들의 인식이 모두 혼인 이야기와 연결시키는 서사적 치밀함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신랑 발바닥 때리기`의 전통이 비교적 오래 되었다는 사실과 그 구조와 내용이 18세기 말에 이미 양식화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신랑 발바닥 때리기`는 `혼인 이야기 다시 들려주기`라는 서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들은 일상성이 < 동상기 >를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한 키워드임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따라서 < 동상기 >는 18세기 서울의 일상과 분위기 및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는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문학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18세기 서울에 사는 보통사람들의 생각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기도 하다. 즉,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과 그 의미는 이 작품의 특징을 말할 때 주변적 것이 아닌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In < Dongsang-ki >, it was set that the most common couple of man and woman played the role of protagonists in ordinary space and humanistic environment of the day. Men and women`s marriageable age was about 16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it was shown that unmarried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at age around 20 were recognized to be old bachelors and old maids respectively. This work very realistically describes the fact that lavish wedding is a classic case of wealthy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various items needed when Chinyeongnye (wedding ceremony) is held`, `style of bride and groom dress`, `items for bridal room`, `wedding food`, etc.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discrimination against military officers was recognized to be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at the biggest obstacle to getting married and taking a civil service exam was poverty. Besides, `the blessed rain following a drought`, `meeting a friend far away from home`, and `passing a civil service exam at an early age` were small joy in daily life, and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bridal night was one of the happiest occasions. It was possible to confirm narrative elaborateness that got all of average people`s cognition including useless fantasy of mysterious and strange beings such as ghost and Dokkaebi helping themselves to connect with wedding story. Finally, it was figured out the fact that there was a long history of ``hitting the bare sole of groom`s feet`, and that its structure and contents were already conventionalized in the late 18th century. Furthermore, `hitting the bare sole of groom`s feet` plays a role of narrative, which is `telling a wedding story again.` These conclusions verify that ordinariness is a very important keyword in understanding < Dongsang-ki >. Therefore, < Dongsang-ki > is a literary work containing a lot of information to understand daily life, atmosphere and state of living in Seoul in the 18th century. Besides, the work also most clearly speaks the thoughts that average Seoulites had in the 18th century. In other words, ordinariness shown in the work and its meaning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actor, not the secondary factor, in te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1. 서론
2. 보통사람, 서사의 주인공이 되다!
3. 혼례를 둘러싼 일상적 풍경들
4. 혼례를 둘러싼 보통사람들의 보통생각
5. 東床禮를 통한 東床記들려주기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