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56.140
3.15.156.140
close menu
KCI 후보
김려(金?)의 < 우산잡곡(牛山雜曲) > 연구
The Study on < Woosan-Jabgok > of Kim Ryo
한정호 ( Han Jeong Ho )
영주어문 35권 267-291(25pages)
UCI I410-ECN-0102-2018-700-000447901

담정 김려(?庭 金?)는 1801년 신유사옥(辛酉邪獄)에 연루되어 경남 창원시진동면(옛 진해현)으로 유배를 와서 5년 8개월 동안 머물며, 유배살이 도중에 『우해이어보』 (1803년 9월)를 저술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어보로 널리 알려져있다. 『우해이어보』에는 창원지역의 기이하고 신기한 어패류 72종을 표제로 삼아 형태, 습성, 맛 등을 비롯하여 이용법, 어획법, 유통과정, 효능 등을 언급하고 있다. 아울러 글의 말미에 한시 < 우산잡곡 >을 첨가하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김려의 창원 유배생활과 『우해이어보』의 창작 배경에 대해 꼼꼼하게 짚어보고자 했다. 나아가 유배지 창원의 지역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해이어보』 소재의 기속시(紀俗詩) < 우산잡곡 >의 특성을 따져보고자 했다. 김려는 과거의 `진해현`, 곧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 진북면 · 진전면 일대(삼진지역)에서 유배살이를 했던 것이다. 그의 적소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율치리에 있는 소금 굽는 사람이었던 이일대(李日大)의 집에 세 들어 살았는데, 그곳에 머물면서 『사유악부』 (1801년 12월)를 지었다. 당시 그는 풍토병에 걸려 고생도 많았지만, 1803년 9월 『우해이어보』를 탈고했다. `우해(牛海)`라는 지명은 지금의 창원 진동만을 일컫는다. 아무튼 김려는 창원에서의 유배 체험을 시적 감수성으로 표현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는 『우해이어보』 속에 39수의 한시를 남기고 있다. 『우해이어보』가 유배지 창원에서 풍류를 겸한 관찰이었던 만큼, < 우산잡곡 >은 19세기 초반 창원시 진동면 어촌의 생활상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를테면 시적 특성은 어촌 풍광의 형상, 어로 현장의 묘사, 어민 생활의 노래 등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렇듯 < 우산잡곡 >은 김려가 유배지 창원에서의 체험을 형상화한 뛰어난 시적산물인 것이다. 특히 한 지역의 특이한 어류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시의 소재로 삼은 것은 이전에는 없었던 특이한 일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그는 조선시대 후기의 한시 전통을 풍요롭게 장식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김려의 탁월한 시인적 감수성은 구체현실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가치관의 모색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Kim Ryo was involved in the `Shinyusaohk` in February 1801 and moved to Gyeongnam Changwon city Jindong, to stay for 5 years and 8 months. Day). he wrote Woohaerieobo(September 29, 1803) in the middle of the exile. It is widely known as the first fish history in Korea. Woohaerieobo are referred to usage, fishing methods, distribution process and efficacy as well as form, habit, and taste, on heading 72 kinds of marvelous and mysterious seafood in Changwon area, and added a poem < Woosan-Jabgok > at the end of the article, So, the writer wanted to delve into the background of Woohaerieobo and exile life of Kim Ryo in Changwon. Furthermore, I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 Woosan-Jabgok >, the recording folk poetry, materialing ofWoohaerieobo based on the local identity of exile Changwon. Discuss the lesson as a finish. Kim Ryo has been in exile for 5 years and 8 months in the past `Jinhae Country` in district of Jindong Jinbuk and Jinjeon area Masan Happo Changwon City. His proper position lived in the house of Lee ill dae, a salt-baker in Yultiri, Jindong, Masan Happogu Changwon city, where he lived and made `private vice`(1801. 12). At that time, he suffered from endemic diseases and suffered a lot, but made Woohaerieobo in September of 1803. The name `Woohae` refers to today`s jindong bay of Masan Happo Changwon city. Anyway, Kim Ryo seemed to express the experience of exile in Changwon with poetic sensibility. He is still in possession of 39 numbers of recording folk poetry, in Woohaerieobo. As Woohaerieobo was an observation in exile Changwon. Recording folk poetry, the < Woosan-Jabgok > was expressed the lifestyle of Changwon Jindong fishing village in the early days of the 19th century. For example, poetic characteristics are expressed by the visualization of the fishing village scenery, portrayal of fishery scene and songs of fishermen`s life. As such, < Woosan-Jabgok > is a remarkable poetic product that symbolizes the experience of Kim Ryo in exile Changwon. Especially, it is a unique thing that has not been used before as a source of poetry by focusing on specific fish in one area. Through these attempts, he is enriching the history of korean po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e excellent poetic sensitivity of Kim Ryo leads to the recognition of the concrete reality and the search for new values.

1. 들머리
2. 김려의 창원 유배생활과 『우해이어보』
3. 기속시(紀俗詩) <우산잡곡>의 특성
4.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