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86.56
3.139.86.56
close menu
KCI 등재
근대적 시·공간 경험의 해체와 탈주 욕망 - 이양지 「각(刻)」을 중심으로 -
Dispersion of experiences on modern spacial time and Desire of escape -With a central focus on Engraving by Yang-Ji Lee-
윤송아 ( Yoon Song-ah )
국제어문 48권 183-208(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37399

이양지 작품의 주요 모티브인 모국체험 서사는 다층적 해석과 복합적 의미망의 산출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한 개인이 국가라는 근대적 공간과 맞닥뜨리며 겪게 되는 언어, 문화, 심리, 신체적 충격과 갈등을 예민한 감수성으로 포착하고 있는 이양지의 작품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조국지향의식이 어떻게 한 개인의 구체적인 일상과 내면 세계, 신체 감각과 마찰을 일으키고 굴절되면서 새로운 형태로 변용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이양지의 작품 『각 (刻)』(1984)을 중심으로 시간과 공간으로 표상되는 근대적 규율 기제가 어떻게 자아의 내면과 신체를 조정하고 억압하면서 분열시켜 나가는지, 또한 재일조선인의 모국체험 서사가 근대화된 조국의 풍경과 어떻게 충돌하면서 해체되고 변모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모국체험의 중심 공간이 되는 하숙집, 학교, 서울의 거리는 모두 `나`의 존재를 압박하면서 규율화된 국가 제도와 민족적 이데올로기를 강압적으로 주입하는 거대한 공공장소이며, 분절화된 시계적 시간과 강박적 시간관념은 개인의 삶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고 균질화함으로써 각 개인의 고유한 내면세계를 억압하고 사물화하는 근대적 장치이다. 그러나 자기 내면의 실존적 목소리를 외면하고 모국에서의 근대적 시·공간 경험을 타율적으로 학습하던 `나`는 결국 분열된 내면의 분출을 통해 규율화된 일상을 해체하고 내면에 잠재한 탈주 욕망을 성취함으로써 왜곡된 모국체험의 허구성을 자각하게 된다. 이러한 조국지향의 내면화 과정의 `실패`는 역설적으로 획일적 국가 이념에 의해 통제되고 규율화된 조국, 상상의 민족 공동체로부터의 `탈주`라는, 또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양지 문학의 경계성, 탈구축성을 생성하는 하나의 분기점으로 파악될 수 있다.

The main motif of works by Yang-Ji Lee, that is, a description of experiences in his mother country is interesting in terms of the capability to produce layered interpretation and deeper range of its meaning. The work by Yang-Jin Lee which sensitively captures linguistic, cultur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shocks and conflicts that one experiences by facing the modern space called a nation shows how conceptual and abstract inclination tendency to one`s mother nation can be transformed by having problems with one individual`s specific daily routine, inner world, and physical senses. This thesis is an inquiry based on Engraving (1984) into how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for modern rules symbolized as space and time breaks oneself`s inner being and physical body by control and oppression and how the description of one Korean-Japanese person`s experiences in his mother country is dispersed and changed in a clash with the modernized scenary of his mother country. The boarding house, school, streets of Seoul which are the central spaces for the mother country experiences are massive public spaces which oppress `my` self-being and forcefully brainwash with disciplined national rules and nationalism, and the time that is subdivided and the obsessional time concept are the modern tools that press and materialize every individual`s unique inner world by controlling, unifying, and homogenizing. However, `I` who was ignoring the existing voice from the self`s inner being and was studying the modern spacial time in the mother country by other forces realize in the end vanity of distorted mother country experiences by breaking the disciplined daily routine and fulfilling the desire of escape that existed inside through eruption of divided inner self. In terms of its ability to suggest a new point of view that this `failure` of the internal process for inclination to his mother country is ironically the `escape` from an imaginary national unity that is the mother country being controled and ruled by a uniformed national ideology, it can be considered as a diverging point that forms the boundary and comes out from its constru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