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30.13
52.14.130.13
close menu
KCI 등재
신경증자의 발견과 탈 나르시시즘 주체의 구제 - 이광수의 『유정(有情)』을 중심으로 -
The discovery of a psychoneurotic and the relief of the post-narcissism subject -Focused on Lee Gwang-Soo`s 『Yujeong』-
김용하 ( Kim Yong-ha )
국제어문 49권 113-136(24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31153

이광수는 정(情)의 계몽성과 병리성을 주목했다. 근대 개인은 정의 주체로서 존재하기를 갈망했다. 그러나 한국 근대 문명은 정을 조선 유교 도덕과는 상이하게 감각의 관점에서 파악했지만 정의 본능을 무제한으로 구현하기에는 근대적 토대가 빈약했다. 근대인은 애정을 욕망하면서도 억압해야만 하는 양가적 태도를 견지했다. 정의 갈망과 억압은 근대 자아를 신경증자로 전환시켰다. 특히 신경증자는 히스테리, 편집증, 강박증, 우울증의 양상을 동반하고 자아의 나르시시즘 속성을 지닌 존재이다. 신경증자는 나르시시즘의 후예로서 정의 비극적 속성을 보여 준다. 이광수는 신경증자의 사적 정은 자아를 파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신경증자의 나르시시즘을 극복할 수 있는 탈 나르시시즘 주체를 재현함으로써 타자와 정을 교류하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그는 윤리 주체가 타자를 구제하는 정의 상호 요인을 발견함으로써 정의 딜레마를 극복했다. 요컨대 『유정(有情)』은 신경증자의 나르시시즘이 탈 나르시시즘 주체의 정의 상호 호혜적 요인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서사적 구현의 일환이다.

Lee Gwang-Soo`s 『Yujeong』 represented a modern ethics. He appreciate modern neurotic subject`s limit. That is, a neurotic subjects - a hysteric, a melancholiac, a paranoi(a)c, a obsessional-are ultimately ruined by a narcissism desire. The love based on a narcissism desire can`t communicate, because its way is based on the ego centralism. A ego centralism don`t acknowledge a otherness. But he thought a post-narcissism subject get over ego centralism` limit. That is, he discovered post- narcissism is the only way modern neurotic subject`s limit can overcome. His ethical narrative is that modern affection can aid modern man become inter-subject. In brief, his 『Yujeong』 appears that modern ethic can reflect modern man`s inner landscap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