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194
3.131.13.194
close menu
KCI 등재
문학, 사건, 혁명 : 4·19와 한국문학 -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중심으로 -
Literature, Event, Revolution : 4ㆍ19 and Korean Literature -Focused on Early Criticism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김형중 ( Kim Hyoung-joong )
국제어문 49권 137-162(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31168

4·19가 정치적으로 혁명적 사건이었음은 말할 나위없다. 그러나 그것이 그간 별 자의식없이 상식으로 통용되었던 것처럼 문학적으로도 `사건`이었는지는 충분히 질문된 바 없다. 바디우에 따르면 정치와 예술은 각각 다른 진리를 산출하는 공정이다. 따라서 정치적 혁명으로서의 4·19가 문학적으로도 혁명이었음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매개가 필요하다.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 하에 백낙청과 김현의 초기 비평을 대상으로 정치적 혁명과 문학적 혁명의 관계를 사유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을 살펴본다. 백낙청에게 정치적 혁명은 매개 없이 문학적으로도 혁명이다. 그러나 문학 자체 내에서 일어나는 형식상의 변화를 살펴보지 못함으로써 그의 비평은 편내용주의적 오류를 범한다. 반면 김현의 경우 `양식화`라는 개념을 통해 정치적 혁명을 랑시에르가 말한 `감성적인 것의 분할`이라는 측면에서 사유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는다. 만약 4·19가 현재 한국문학에도 여전히 유효한 교훈을 준다면, 그것은 김현을 경유하여 문학적 혁명을 정치적 혁명과는 다른 문학 자체에서 발생한 양식화 방식의 변혁을 통해 설명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요지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4.19 was a politically revolutionary `event`. It has not been delved deeply, however, whether it was also an `literary` event. According to Alain Badiou, both politics and art are the processes that produce different truths respectively. Therefore, we need more complicated mediums to prove that 4.19 as a political revolution was also a literary revolution. This paper examines two different approaches that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revolution and literary one through the early criticisms of Paik Nak-chung and Kim Hyun. To Paik, a political revolution is a literary revolution in itself without any mediums. So, his criticism commits an error in respect of content leanings. On the other hand, Kim paves the way for speculating a political rev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Jacques Ranciere`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the conception of `stylization`. The point of this paper is that if 4.19 still gives a valid lesson to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t needs to be explicated by the innovation of the way of stylization which arose from literature in itself through Kim Hyu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