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13.201
3.129.13.201
close menu
KCI 등재
대중소설에 나타난 주체 변모 양상 - 1930년대와 197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bjects change through popular novel-focusing on the 1930s and 1970s
오혜진 ( Oh Hey-jine )
국제어문 51권 193-221(2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20249

이 논문은 1930년대와 1970년대 대중소설을 통해 남성과 여성의 주체로의 위치와 변화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1930년대 방인근의 「방랑의 가인」과 박계주의 「순애보」는 일제의 억압적 체계 속에 온전한 주체로 서지 못한 남성 주체를 보여준다. 정치, 경제적인 공적 영역이 차단되고, 일제에 의해 `반개`로 규정된 후, 거세된 식민지 남성들은 그럼에도 사회적으로 근대 주체로의 위치를 부여받는다. `의사` 근대 주체화된 이 남성들은 그러나 비겁하거나 무기력함으로 일관한다. 여성들 역시 사랑이나 희생이라는 이상하에 사실상 남성에 종속된 위치로 타자화된다. 특히 그 가정을 해체시키는 신여성, 여학생이나 기생으로 대변되는 이들은 철저하게 희생된다. 1970년대는 훨씬 폭력적이다. 근대국가 건설에의 열망은 그것을 감당해야 하는 남성들에게 큰 고통을 짐지운다. 외부로 발산되지 못한 개인의 욕망과 분노들은 결국 시대의 희생양, 여성에게 집중된다. 「별들의 고향」의 경아는 많은 남성들의 욕망을 실현시키고 결국 그녀 자신의 육체는 소진되고 만다. 남성들은 경아의 육체를 통해 위안을 얻고 자신의 길을 찾아나선다. 「겨울여자」의 이화는 적극적으로 남성들에게 자신의 육체를 제공, 남성들이 근대화의 주역으로 서는데 성모와 같은 역할을 한다.

This article is due to excavate men and women subjects change between the 1930s and 1970s popular novels. In the 1930s, Bang-in-geun`s novel < Wandering singer >, Park-gae-joo`s work < Romantic love song > show men character on failure of modern nation-building. They were blocked out public domains and defined semibarbarian by Japanese empire, but they were called `substitute` modern subject by the colonial public. Otherwise, Women had became guardian of men found relief in home. But `new-women` who broken home security were ostracized. The 1970s were more abusive. Men were hard to build establishing nation`s modernization. They relieved their stress by taking frustrations out on women sacrifice. Choi-in-ho`s < The Homeland of starts >, a heroin Kung-a was completely exhausted herself coming true men`s desire. They found their way through Kung-a`s body. Cho-hae-il`s < A woman in winter >, Ewha play a role as like a image of the Virgin Mary, to come the front men the principal of the modern nation, used her sexua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