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72.252
18.223.172.252
close menu
KCI 등재
조선 후기 열녀의 순절의 의미화 방식 연구 -재녕 이씨, 남원 윤씨, 서녕 유씨, 서흥 김씨 유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s of dying for 18~19th century women`s chastity - on the focus of the widows` testaments -
김정경 ( Kim Jung-kyung )
국제어문 53권 9-35(27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08885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열녀들이 남긴 한글 유서를 대상으로 그녀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읽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조선 후기의 여성들은 남편이 죽은 뒤 자신의 남은 삶을 `투생`이라고 생각하고 스스로 죽음을 택한다. 남편의 죽음은 그녀들을 상징계에 자리매김하는 기준이 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남은 여성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에 더 이상 자신의 자리가 존재하지 않기에, 스스로를 사회적 정체성을 획득하는데 실패한 존재라 여기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 후기 열녀들에게는 이전의 열녀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순절의 지연`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고에서는 남편의 죽음과 동시에 사라져야 할 그녀들이 일정기간 죽지 않고 살아있는 이유 즉, 그녀들의 죽음이 일정 기간을 거친 뒤에 이루어지는 현상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열녀들은 자신을 존재하게 했던 상징계의 지지대가 사라진 사실의 원인이 부재한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상실의 원인 자리에 스스로를 가져다 놓는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남편이 죽은 뒤 아내 그리고 며느리로서 행한 많은 의무들은 자신이 희생양의 역할을 맡을 자격이 있으며, 이를 자발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행동임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조선 후기 열녀들의 순절에 나타난 지연 현상은 가부장적인 유교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희생양의 역할을 맡기 위한 희생 행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structure and signifying mechanism of 18~19th centry women`s testament. On chapter 2 dealt with the structure of the text. The main features of 18~19th century women`s testament are their testaments have justification and requests; the reasons they must have died and cannot have died immediately their husband had been died. The widows regarded their lives as stolen times. So they cannot have put an end to their own lives.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unction of “delay” in 18~19th century women`s suicide. As a result, we knew that they had sacrificed for obtaining a right to be victims. As a result, the paper found out that 18~19th century widows` doings had manifested that they had a right to be a scapegoat and this sacrifice was a voluntary behavio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