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82.167
13.59.82.167
close menu
KCI 등재
단군신화 교육의 전제와 방법적 제안
Premises and Ways of Education of Tangun Mythology
이병찬 ( Lee Byoung-chan )
국제어문 53권 219-256(38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208941

본고는 단군신화의 교육에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적 전제들과 교육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단군신화는 우리 선인들의 정신생활을 파악하고, 민족문학의 전개와 정수를 이해하며,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학을 건설하는 방향을 정하는 데 기여하는 동시에, 나아가 확고한 민족적 주체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제재이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단군신화 자료의 실상과 이해를 다루었는데 크게 문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전승 자료의 실상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현황을 살펴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3장은 교사가 단군신화를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서 교육적으로 전제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해 본 것이다. 교사는 학습자가 가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의문들을 풀어주어야 할 의무가 있고, 그를 위해 교사들은 우선적으로 1)신화자료의 이해, 2)역사교육, 3)정체성교육, 4)단군민족주의, 5)단군 신앙, 6)국어교육, 7)문학교육, 8)문화 창조 등과 관련한 교육적 전제들이 확립되어 있어야 함을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단군신화의 교육 방법에 대한 제안으로서 단군신화가 지니는 현대적 의미를 해석하여 `살아있는 텍스트`로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법론의 제시보다는 특히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 개발 자료로서의 활용을 고려한 교육 방법의 개발을 역설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용 바꾸기, 갈래 바꾸기, 매체 바꾸기 등을 통한 작품의 재구성·재창작 활동을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educational premises and ways in the education of Tangun mythology in answer to new demands of the times. Tangun mythology is an indispensible subject-matter of education not only to our grasping of ancestors` spiritual life an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and development of national literature, but also to our building new literature based on tradition and to our establishment of firm national sovereignty. The topics discussed are as follows. In the 2nd chapter I deal with the actual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materials regarding Tangun mythology are used and the ways they are understood. The circumstanc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visions: textbooks for literature, teacher`s manuals, and traditional literature. In the 3rd chapter, the premises to proper education of Tangun mythology are proposed to teachers. Teachers have obligation to satisfy learners` questions and for that purpose should establish their ideas of those premises regarding such subjects as 1)understanding of mythological materials 2)education of history 3)education of identity 4)nationalism of Tangun 5)Tangun religion 6)national language education 7)eduction of literature 8)creation of culture, etc. In the 4th chapter I propose that we should interpret concretely the Tangun mythology and find its modern significance as a living text. I put less emphasis on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methodologies tha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s in consideration of using cultural contents such as storytelling. To do this I think we need to embody more positively on the educational spot such recreative and reconstructive activities as changes of contents, divisions or medi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