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41.44
18.221.141.44
close menu
KCI 등재
자기원형의 발견과 자아실현의 길 - 분석심리학으로 읽은 「조신설화」 -
Discovery of Self-archetype and Way of Self-realization - The 「Joshin narratives」which read through an analytic psychology -
강유환 ( Kang Yu-hwan )
국제어문 42권 99-130(32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4667

이 작품은 조선시대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환몽구조로 이루어진 소설에 기본 틀을 제공해주었다. 설화의 내용은 현실에서 맺어질 수 없는 대상을 갈망하여 극도로 고뇌하다가 꿈에서 욕망을 이루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설화의 문면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보면, 주인공이 자신의 욕구와 상반되는 외계(外界)의 조건을 어떻게 극복하고 자기실현에 도달하는가의 도정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본고는 조신설화의 전기적, 역사적 측면이나 문학적 특성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문면에 드러난 내용과 그 속의 내재적 의미를 통해 조신의 자아실현과정을 추적하고자 함이다. 분석심리학의 관점을 적용하여 결혼을 갈구하는 조신의 욕구가 현실조건과 맞물리어 어떻게 자기원형과 대면하게 되고,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어떠한 상태로 실현해나가는가에 기준을 두고 논의를 전개한다. 조신은 평범한 승려의 신분이 아닌, 지장(知莊)이었다. 불가의 계율과 일과에 맞추어 생활해야 하는 본사에서 나와 지장의 임무를 맡은 것은 제2의 정신적 출가를 의미하는 사건이다. 이는 외계를 이루는 자아를 의식하는 계기가 되고 자신 속에 도사리고 있는 무의식과 그 그림자를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는다. 그가 장원에서 여성에게 매혹됨은 억압된 무의식으로서의 애욕이 제일 먼저 표출된 것이다. 무의식 중 가장 억눌리고 열등한 부분이 돌출되어 그녀와 함께하는 세속적 삶에 대한 바람을 갖게 된다. 조신이 `잠이 든` 것은 일종의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감을 상징한다. 그의 의식에 의해 가려졌던 무의식 속에는 그가 영위하고 싶었던 속세의 삶이 펼쳐진다. 조신의 현실적인 아니마는 김흔 공의 딸이지만 그녀의 모습 속에는 조신의 번뇌를 어루만져서 벗어나게 도와주는 구원의 여성으로서의 관음보살이 투사되어 있다. 그의 아내는 조신에게 진정한 자기원형의 모습을 깨닫게 해주려는 관음보살의 보조자이기도 하다. 그의 진정한 자기의 모습을 발견하게 도와주는 이가 그가 반한 현실의 여자이면서 동시에 관음보살이다. `조신설화`는 세속의 부귀와 공명 또는 욕망을 이룸이 하룻밤의 꿈처럼 무상하다는 단순한 교훈이 들어있는 게 아니다. 인간들의 세상에서 자기의 전부라고 알고 살고 있는 가면으로서의 인격에 함몰됨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진정한 자기의 원형을 깨닫고 그 모습을 찾아가야 한다는 당위적 내용이 관류하고 있다. 이 설화는 현실의 원칙에 충실하여 획득한 표지를 버리고 내재된 욕망을 위로 끌어올려 근원적 번뇌와 대면하게 한다. 조신은 외면과 내면의 이런 긴장을 통해 자기의 원형을 깨닫고 속세를 벗어나 해탈의 길에 입문한다.

This literary work has offered a basic framework to the novels which become a structure of empty dreams from the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to the modern times. The import of the story in the narrative is that a protagonist would gratify his desire in a dream after he was in an extreme agony due to one-sided love to an object of love who did not fit in with the reality. From an analyt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upon the purport of a letter in this narrative, it will be very interesting to see what the protagonist will accomplish himself-realization and what conquest he will do next to the outward conditions which come into conflict with himself-desire. This thesis is not to put emphasis upon some biographical, historical aspects or literary characteristics in Joshin narratives, but to pursue process of Joshin himself-realization through the immanent meaning as well as content appeared on the purport of a letter. To apply an analyt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is thesis is to develop discussions on the basis of how Joshin`s wants which desired a marriage eagerly meet himself-archetype to the conditions of reality, and he made an effort to realize a true self-image into what kind of state. Joshin was not an ordinary Buddhist monk, but Jijang who was the Buddhist monk of high standing. That he had taken charge of Jijang`s duty means that he performed the 2nd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mentally by leaving from the head temple where he had to live in accordance with his schedule for the day as well as the Buddhist commandments. It served as a momentum to be conscious of ego which forms the outer world and was able to get an opportunity to meet an unconsciousness of immanence in a sense of self and its shadow. That he fell under the spell of a girl`s charms at Jangwon was the first expression of his feelings of sexual passion from a suppressed unconsciousness. The prominence from the most suppressed inferior part of unconsciousness made him have desires for a secular life. Joshin`s sleeping is the symbol which has entrance to an unconscious world. There are some secular life which he would like to lead in unconsciousness hidden by his consciousness. He regarded Joshin`s Anima of reality as Avalokitesvara(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of a rescuer female to extricate himself from the waves of evil passions as well as a daughter of His honor, Kim, Heun. And also, his wife is Avalokitesvara`s assistant to make an effort to attain spiritual enlightenment about an image of a true self-archetype for Joshin. It was Avalokitesvara as well as a real woman of his heart who made an effort to discover a true himself-image. The 「Joshin narratives」is not a simple instruction that a secular life of wealth, rank, fame, and realization of desire is all is vanity in life like a dream in one night. There are some meaning that they have to take precautions against depersonalization with the pretense that make a false show of power in the world of man. Also, it flows through a content of what should be enlightened about a true self-archetype and sought after truth picture. This narrative literature made them be faced with a rooted evil-passions by arousing an immanent desire after throwing a mark obtained to make it a rule to pursue a principle of reality. Joshin gets freed from the ties of this world after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about a true self-archetype through such tense conditions between inner life and externa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