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96.184
18.117.196.184
close menu
KCI 등재
혼과의 소통, 또는 무속적 요소의 문학적 층위 - 김소월·이상·백석 시의 무속적 상상력 -
Communication with souls, or literary layers of Shamanistic factor - Shamanistic imagination in the poetry of the poets: Kim, So-Wol; Lee, Sang; Baek, Suk -
오태환 ( O Tae-hwan )
국제어문 42권 203-241(39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4692

우리 겨레가 한반도에 문명을 이루며 살았던 선사시대로부터 디지털시대로 일컬어지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무속이 우리 겨레의 의식과 풍속과 윤리와 규범에 끼쳐 온 파급력에 비추면, 현대시의 공간 안에 드리운 무속적 모티프는 상대적으로 희미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우선 현대시가 재래의 문화를 버려야 할 유산으로 치부했던 사회사적 분위기 속에 탄생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른 이유로 우주관이나, 사생관, 그리고 신지핌이나 혼교(魂交), 주술, 공수, 금기 따위의 무속적 요소에 드리운 초자연적 색채는 실증주의와 유클리드 기하학, 그리고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표상되는 서구의 근대적 인식체계 안에서 호소력을 발휘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시사에서 일정한 좌표적 공간을 확보하는 시인의 시안에 내재한 무속성을 탐험함으로써, 겨레의 의식과 규범과 윤리와 행동을 오래 지배해 왔던 무속이 겨레정서가 가장 예리하게 집적된 물증이라 할 수 있는 현대시에 어떤 모습으로 간섭하고 있는가를 살피려는 데 있다. 소월 시에서는 「무덤」, 「묵념(默念)」, 「접동새」를 텍스트로 삼아 무속적 상상력을 탐색했다. 「무덤」은 한밤중 공동묘지를 헤매는 화자가 빙의 상태에서 가슴에 품은 한을 망자의 공창에 의탁해 표출하는 작품이다. 이 시의 에피소드는 신병들린 입무자의 심리와 행동을 환기한다. 「묵념(默念)」은, 한맺힌 망자는 저승으로 들지 못하고 지상을 떠돈다는 무속적 사생관을 배후로 사랑과 그리움, 또는 한이라는 소월 시의 주제적 국면을 표출한다. 사령을 화자로 삼아 형상화하는 형식을 지닌다. 「접동새」는 서북지방의 전래설화를 모델로 하여 한이라는 겨레정서의 원형질을 포착한다. 이 시들의 배후에는 사령과 소통하는 무속적 혼교 모티프가 놓인다. 화자 자신이 무속적 사유를 배경으로 사상(事象)에 접근하고 그것을 해석한다. 그 과정에서 깊은 그늘을 드리우는 한(恨)은 `무속의 씨`로 무적 제례의 동인을 형성한다. 이상 시 가운데에서는 「오감도(烏瞰圖)」의 「시제14호(詩第十四號)」와 「문벌(門閥)」에서 무속적 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 「오감도(烏瞰圖)」 연작 가운데 하나인 「시제14호(詩第十四號)」는 무속적 입사의례의 한 형식인 임사체험을 사실적으로 재현한다. 신체할단(dismemberment)을 통한 임사체험은 시대나장소와 관계없이 원시샤먼들이 인격에서 신격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 시에 드러난 신체할단 장면의 전율과 고통은 원시샤먼들의 그것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 이상 시에서도 우연적이고 예외적인 이러한 모습은 집단무의식의 현상으로 볼 수 있을 듯하다. 「문벌(門閥)」은 가문의 굴레에 대한 화자의 갈등과 고민을 혼교라는 무속적 사유형식으로 전달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무속성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꾸미기 위한 알레고리적 장치를 구성하는 데 복무한다. 백석의 시에서는 「가즈랑집할머니」, 「소금덩이라는곧」,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에서 무속의 기미를 발견하려 했다. 그의 시가 보여 주는 극사실주의적 토속 공간의 원형성은 이미 그 안에 짙든 흐리든 무속적 세계가 겹쳐 있을 소지를 마련한다. 「가즈랑집」은 무당인 “가즈랑집할머니”를 구심점으로 한, 무속적 사유와 질서 아래 사람과 동물과 신이 혼연하는 신화적 공간을 보여준다. 「오금덩이라는곧」은 무속적 색채가 축사의례의 풍속을 전경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여귀(?鬼)를 위로하거나 재액을 방비하는 풍속을 묘사하면서 그 이면에 가려진 무속적 사유의 일단을 보여 준다.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에서는 집과 마을 모두가 무속의 지배를 받는다. 집과 마을 곳곳이 무속의 신들이 살아 숨쉬는 신화적 공간이다. 성년기 백석의 기억 속에 깊게 음각된 유년기의 무속적 환경은 언제나 돌아가 정주하고 싶은, 그리움의 원형적 공간이다. 지금까지 한국 현대시 연구는 전통적인 것을 수단으로 한 접근은 도외시된채 서구식 사유와 도구로 재단되어 온 게 현실이다. 무속은 합리성 여부와 상관없이 오랜 기간 이미 존재해 왔다. 무속이 품는 신비성이나 초자연성의 합리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우리 겨레는 그것이 형성하는 공간 안에서 수천 년동안 숨쉬며 살아 왔다. 무속은 서구적 저울과 잣대로 합리성 여부를 따질 만한 가치판단의 대상이 아니다. 시라는 장르가 앞에서 말한 것처럼 겨레 정서를 가장 민감하게 반향한다면, 겨레정서의 원형질을 이루는 무속을 광원(光源)으로 해서 우리 현대시를 조명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으로 여겨진다.

In the light of spreading effect of Shamanism on consciousness, that is, the morals and customs and rules of Korean people, from the prehistoric age when they initiated to establish their civilization on Korean Peninsula up to now the digital one, the Shamanistic motives indicated in modern poetry seem to relatively blur. For one thing, modern poetry was born out of social circumstance where past cultural heritages were to be discarded. For another, the supernatural shade from Shamanistic elements such as communication with souls, incantation, Shaman`s dictation of the dead and taboo lost its appealing power owing to the Western thinking system of recent times, symbolizing positivism, Euclidean geometry and mechan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Korean Shamanistic atmosphere, having dominated consciousness, that is, the morals and customs and rules of Korean people, affects the modern poetry in which Korean emotions are most sensitively accumulated, by pursuing the Shamanism existing within the poems of poets who are very important in Korean modern poetry. The Shamanistic imagination is traced in the poems of Kim, So-Wol like 「무덤」, 「묵념(默念)」and 「접동새」as a text. The poem, 「무덤」, is a work in which an empty-minded narrator who is wandering about a public cemetery at midnight expresses his own bitter feeling using the mouth of the dead body. This episode reminds us of the mentality and behavior of a novice Shaman with mental disease. The poem, 「묵념(默念)」, represents the thematic aspects of Kim, So-Wol, that is, loving, longing and bitter feeling, based on the life-style and point of view for death, in which the dying with much bitter feeling can`t enter the heaven only to wander this world. In this poem, the soul of the dead acts as an narrator. In the poem, 「접동새」, we can spot the archetype of Korean racial emotion, "bitter feeling," which is modelled on an old tale of north-western province of Korea. These poems are based on the Shamanistic motif in which one can communicate with the souls of the dead. Narrators to think in a Shamanistic way approach and analyse their objects. In this process, bitter feeling deeply rooted in these poems results in Shamanistic rituals as a seed of Shamanism. In the poems, 「시제14호(詩第十四號)」and 「門閥」, from the series, 「오감도(烏瞰圖)」, by Lee, Sang, we also detect some Shamanistic elements. The poem, 「시제14호(詩第十四號)」from the series, 「오감도(烏瞰圖)」, shows realistically us a dying experience as a Shamanistic ritual. A dying process through dismemberment is a common phenomenon which is found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from a human to a god regardless of places or times. In this poem, thrill or ecstasy through dismemberment surprisingly consists with one that primitive Shamans felt. This accidental and exceptional aspect is likely to be seen as a kind of collective consciousness. In the poem, 「문벌(門閥)」, a narrator tells us, in a Shamanistic thinking system, his own conflict and agony resulting from the bandage of good family: 「문벌(門閥)」. In this, Shamanism serves as an allegorical instrument in order to describe its message effectively. Baek, Suk`s poems like 「가즈랑집할머니」, 「오금덩이라는곧」 and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also leave some Shamanistic trace. His poems reveal the archetype of surrealistic native space, within which some Shamanistic worlds are piled up.The Shamanistic shrine, 「가즈랑집」, is a sacred space where the Shaman, “가즈랑집할머니,” plays a pivotal role and humans, animals and gods live with each other under Shamanistic order and mentality. This also shows us an aspect of Shamanistic mentality, while describing a traditional custom to soothe evil spirits and thus to prevent damages. In the poem,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the whole village including all the villagers is ruled by Shamanism. In other words, all the houses and places of the village are the mythical or sacred site where Shamanistic gods make a living. The poet, Baek, Suk, always wants to go back to the Shamanistic circumstance or archetypal space which remains in mind as his childhood memory. The truth is that Korean modern poetry study hasn`t followed traditional approaches but has been ruled, up until now, by Western mentality and instrument. Korean people have been living in a Shamanistic space for thousands of years, regardless of Shamanistic mystery or supernatural rationalism. Shamanism is no longer an object that can be justified by Western measurement and scientific approach. If the genre of poetry influences Korean people`s emotions most sensitively as I stated above, it is very, very meaningful to cast some new light on the Korean modern poetry in terms of the archetype of Korea: Shama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