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0.185.147
3.140.185.147
close menu
KCI 등재
석정 이정직의 논시시 연구 -<희위이십사절구(戱爲二十四絶句)>를 중심으로-
On Nonsisi (Poem-criticizing Poetry) of Seokjeong Lee Jeong-jik: With a Focus on "Huiwi isipsa jeolgu"
구사회 ( Gu Sa-whae )
국제어문 43권 5-35(31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8089

이 논문은 한말의 문예이론가였던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 1841-1910)의 논시 작품에 대한 논의인데, 그 중에서 <희위이십사절구(戱爲二十四絶句)>라는 논시절구(論詩絶句)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희위이십사절구>를 간과하여 논시절구로 파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다뤄진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는 한국 `이시논시(以詩論詩)`의 양식사에서 하나의 발굴적 성과라고 말할 수 있다.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를 살펴보기 이전에 먼저 역대 논시절구의 양식사적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논시절구는 당나라 두보의 <희위육절(戱爲六絶)> 이래로 금나라에 이르러 시인에 대한 비평을 앞세우는 원호문(元好問, 1190-1257)의 그것과 시 자체에 대한 관점이나 법식을 위주로 하는 대복고(戴復古, 1167-1250)의 그것으로 전개된다고 보았다. 한국에서의 논시절구는 19세기 전기에 신위의 <동인논시절구(東人論詩絶句)>에서 시작되는데, 그것은 자하 신위→추금 강위→매천 황현→석정 이정직으로 이어졌다. 석정의 <희위이십사절구>는 벗이었던 매천과의 교류에서 얻어진 문예적 성과물로서 1902년도에 지어졌다. 한편, 신위와 황현은 작품론으로, 이정직은 창작론으로 방향을 달리한다. 석정은 <희위이십사절구>와 같은 논시절구를 비롯하여 70여수의 논시시를 남겼다. 석정의 논시시들은 그 대부분이 작가나 작품보다는 성정이나 시정신과 같은 본질론, 학시와 작시상의 문제와 같은 창작론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특히 석정의 논시절구인 <희위이십사절구>는 전체적으로 시를 지어나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언어나 시어, 용사나 표현의 문제 등과 같은 창작론으로 이뤄져 있었다. 논시절구에 드러난 석정의 시론은 독창적이거나 개성적인 작품보다 평이하고 담박한 풍아의 유풍과 함께 심성에서 우러나온 진실한 시작품을 옹호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석정의 시론은 『시경』ㆍ 「풍아」로 대변되는 동양 고전의 예술 정신에 의미를 부여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려는 고전주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문학사적 측면에서 신위나 황현의 논시절구는 역대 작가에 대한 시평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해, 석정의 그것은 작시나 학시 과정에서 유의해야할 창작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This paper discusses Seokjeong Lee Jeong-jik`s `nonsisi` or `sirons`i (poem-criticizing poetr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 huiwi isipsa jeolgu(희위이십사절구) >, a "poem-criticizing" quatrain. Until now, researchers hav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the quatrain. Therefore, the discussion of Seokjeong`s < huiwi isipsa jeolgu > i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field that has studied the evolution of the formats of poem-criticizing poetry. The first poem-criticizing quatrain in Korea was Shin Wi`s Donginnonsi jeolgu(<동인논시절구>), a work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tradition was sustained by Jaha Shin Wi, Gohwandang Kang Wi, Maecheon Hwang Hyeon, and Seokjeong Lee Jeong-jik. Seokjeong`s < Huiwi isipsa jeolgu >, written in 1902, was a literary output enabled by his friendship with Maecheon. The poets specialized in different fields. Shin Wi and Hwang Hyeon worked on theory of individual works whereas Lee Jeong-jik focused on theory of creative writing. Seokjeong was not interested in individual poets or their works. Most of Seokjeong`s nonsisi (poem-criticizing poetry) dealt with theory of essence on temperament and theory of creative writing on haksi (learning-oriented poetry) and jaksi (poetry writing) issues. In particular, Seokjeong`s < huiwi isipsa jeolgu > deals with issues of theory of creative writing : general issues of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that are encountered as poems are written, citations, and expressions. In his "poem-criticizing" quatrain, Seokjeong displayed a preference for simple, unambitious, and veracious works rather than unique and individualized works. Overall, Seokjeong`s theory of poetry upheld the artistic spirit of the East`s classicaltradition and tried to sustain it in the modern contex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