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28.48
3.17.28.48
close menu
KCI 등재
경기 북부지역 마을신앙과 가을제의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village belief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and October rite
김종대 ( Kim Jong-dae ) , 차보영 ( Cha Bo-young )
국제어문 43권 121-145(25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8125

경기 북부 지방에서 전승되는 마을 신앙은 신앙적 속성과 제의시기가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 지역에 영향을 끼쳐온 신앙적인 전통과 무관하지 않다. 산신신앙의 흔적은 분명히 수렵문화적 속성을 반영한 결과이며, 가을 제의 역시 농경문화적인 특징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재 이들 지역의 신앙적인 근간은 농경문화에 있다. 풍요로운 수확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것이 마을 신앙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논농사권에서는 마을제의가 주로 정초에서 정월 보름에 집중되고 있는데, 경기 북부지역에서는 가을 제의로서 9월과 10월에 몰려 있다. 이러한 제의일시의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 풀고자 하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삼국시대의 국가적인 제의 특징을 살펴보면 신라에서는 10월 제의가 없는 대신에 고구려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제의일시 만을 갖고 본다면 10월 제의는 고구려의 신앙적 전통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북방식 제의` 혹은 `고구려식 제의`라고 부를 만하다. 지금까지 마을신앙이 행해지는 제의일시에 대한 논의로서 중심은 정월 보름이었다. 이것은 쌀농사권으로서의 농경문화가 완전히 정착된 이후로 광범위하게 유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삼한 시대의 문헌 기록을 근거로 할 경우 정월 보름은 의미부여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쌀농사가 전국적으로 유포되면서, 특히 신라 문화권에서 활발한 전승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가을에 행해졌던 민간 신앙은 안택과 고사 등의 개인신앙 중심으로서 수확의례적 속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마을 신앙과 같은 집단 신앙이 행해졌을 경우에도 과연 수확의례로만 해석되는 것이 온당할 것인가 의문이다. 오히려 그런 특징보다는 수확의례적 속성을 띠고 있던 고구려 등 북부지역의 수렵의례로서 해석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것으로 보이는 이유도 이런 측면 때문이다. 또한 고구려와 고려의 신앙적 전통이 산신제 중심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가을 제의는 고구려 등 북부지역의 전통을 계승한 북부식 마을 신앙적 특징을, 정월 제의는 신라를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에서 전승된 논농사 중심의 농경문화적 특징으로 담고 있다고 하겠다.

The village belief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is different from any other regions in both religious aspect and occasion of rite. The rite itself is concerned as religious tradition. Mountain god belief reflects hunting culture. Thus, the Autumn rite cannot be considered as an agricultural ceremony either. Despite of the fact that, it will be useful to find that how these rit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are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e. At present, religious rites in Gyeonggi-do province are also based on agriculture. Village people pray for peace and a fruitful year for towns. The village belief rite is held mainly in farming area. Most of rites in other regions are held mainly on the first full-moon day in January (lunar). However, people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have Autumn rites in September and Octo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y these rites were held during different season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Goguryeo had October rites as a national ceremony, whereas Silla did not hav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call `Goguryeo`s October rite` as `Northern-style rite` or `Goguryeo-style rite`, according to the occasion of rite was held. January rite is performed mainly on 15th day(lunar) and on only January rite has been studied as village belief so far. It is possible for January rite was spread nationwide after rice-planting became the most common occupation in Korea.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conclusive factor about the first full-moon day (lunar) from literatures from Three-Han period. Therefore, January rite had spread among the public, with rice-planting, specially from Silla region. Autumn rite has been considered mainly harvest ceremony for personal purpose as yet. However, it is questionable to think Autumn rite as personal harvest purpose only. If so, how can we explain about the Autumn rite that was held during the village rite? Autumn rite is a hunting ceremony which shows harvest characteristic of Northern part of Korea, rather than harvest ceremony. Besides Goguryeo and Goryeo had religious traditions focused on Mountain god. From this point of view, Autumn rite has handed down northern-style village belief tradition, and January rite carried southern-part`s agricultural tradi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