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97.61
3.21.97.61
close menu
KCI 등재
김승옥의 「무진기행」 연구 -`무진`과 `하인숙`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f Kim Seung-Ok`s Moojingihaeng(무진기행) -Focused on the Symbolic Sense of `Moojin` and `Ha In-sook`
곽상순 ( Guahk Sang-soon )
국제어문 44권 255-280(26pages)
UCI I410-ECN-0102-2018-800-000052158

본고는 `무진`과 `하인숙`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김승옥의 대표작 「무진기행」을 다시 읽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무진기행」의 모호한 결말, 특히 주인공이 강렬하게 경험하는 `부끄러움`의 원인과 의미를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다수의 해석적 공백들을 채움으로써 「무진기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이를 바탕으로 김승옥의 소설 세계를 일관되게 해명하고 구성할 수 있는 해석학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무진기행」의 이야기 구조는 크게 어머니 혹은 아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과거의 이야기와, 박과 조 그리고 하인숙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현재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의 이야기가 주인공에게 `무진`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데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면, 박과 조 그리고 하인숙을 둘러싼 관계를 검토하는 것은 `하인숙`이라는 여성의 비의적 의미를 파악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무진을 특징짓는 `안개`의 의미 및 주인공의 과거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함으로써 `무진`이 주인공에게 갖는 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했다. 아울러 이 소설의 중심적 사건을 구성하는 주인공과 하인숙 간의 연애관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엇을 계기로 하여 변화하게 되는지를 특히 박과 조를 포함한 일련의 인물들 간의 관계 속에서 검토함으로써 그녀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무진기행」의 전반부에서 우리는 능동성을 경감하게 된 것의 해방적 잠재력을 식별할 수 있었다. `무진`에서의 `나`에게 해방감을 주는 주된 요인은 `나는 그것을 하고 있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행위자`가 아니라는 인식이다. `무서운 어머니`의 금지와 그로 인해 수동성의 위치로 쫓겨나고 만다는 사실이야말로 `내`가 책임과 의무, 죄의식 등으로부터 벗어나 긴장을 이완시키고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주된 원천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하인숙이 `나`를 순수하게 사랑하는 순간, 즉 무조건적인 사랑에 자신을 맡긴 채 일련의 현실적 요구들을 철회하는 순간, 사태는 극적으로 전환된다. 이제 말 그대로 사태의 모든 책임은 `나`에게 달려 있다. `나`는 이전까지와는 전혀 무게감이 다른 일종의 실존적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린다. 요컨대 `진실하고 무조건적인 사랑`이라는 환상을 실현시켜 줄 이상적 대상을 만나게 됨으로써 역설적으로 `나`는 그토록 피하고 싶어 한 스스로의 `실존`과 대면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는 자아의 실존적 파탄을 상징하는 “심한 부끄러움”을 감당하는 것이다. 「무진기행」에서는 `순수하고 진실한 사랑`이라는 이상적이고 환상적인 꿈의 실현, 그것의 현실적 구체화야말로 남성 주체가 가장 피하고 싶어 하는 끔찍한 악몽으로 경험되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Moojingihaeng. This work written by Kim Seung-ok is the canon of Korean literature, but in spite of the fame, is not analyzed thoroughly. So we try to explain this work focused on the symbolic sense of `Moojin` and `Ha In-sook` who is heroin in this work. She is very mysterious woman. She counts all the condition for the better marriage-life and at the same time she wants pure and absolute love. We aim to explain the function of `fog` and `maternal super-ego` for the meaning of `Moojin`, and we also aim to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in Moojin including `me` and `Ha In-sook`, for the meaning of her. The main method of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French psychologist Lacan`s Psychoanalysis as well as narratology. The first feature of `Moojin` that strikes the eye is the utter `enclosure` of its fog. The fog has come to town almost everyday. In this fog, the hero feels a momentous liberating potential. By surrendering my innermost content, including my sins and anxieties, to the other, a space opens up in which I am free to breathe. When the other is sacrificed instead of me, I am free to go on living with the awareness that I did atone for my guilt. Mother and wife who are in this work play the role of the other that do the thing for me or instead of me. But Ha In-sook shows him that nothing at all is permitted any longer in true love. He falls in love with her in spite of having wife, but In-sook maintains an ambiguous ironic distance towards him. Finally she gives way to his advances and they go to bed together. After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reversed. Now it turns out that she is passionately in love with `me`, although she knows her love is impossible. It is only at this point that true love emerges. To put it in Zizek`s terms, at this time we confront an asymmetry not only the asymmetry between subject and object, but asymmetry in a far more radical sense of a discord between what the lovers sees in the loved one and what the loved one knows himself to be. At this crucial moment, the hero retracts. He avoids his lover`s eyes and rejects her love. He goes to Seoul where his wife waits for him ending all acts for his job success. He betrays the true love that aims at the real kernel of the object beneath the phantasmic layers. That is to say, the paradox resides in the fact that although he loved her without any underhand thoughts, it now becomes obvious that her love was in some sense purer and far more authentic. Love is whatever he must betray unless he gave up the interpassive pleas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